![159724.jpg](http://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59/159724.jpg)
유희 『物名考』에 수록된 한글대응어의 가치
Significance of the Korean Equivalents in Yu Hui’s Mulmyeonggo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동방학지
- 동방학지 제196집
- : KCI등재
- 2021.09
- 125 - 150 (26 pages)
본고는 유희의 『物名考』에 수록된 한글대응어의 가치를 국어사적 가치, 생태사적 가치, 민속사적 가치로 나누어 살펴본 것이다. 국어사적 가치에서는 『物名考』의 이본들이 물명의 공시적 차이를 보여주는 자료이며, 동일 부류의 물명에 있어 수록 어휘가 가장 방대하고 촘촘하게 수록되어 있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생태사적 가치에서는 『物名考』 수록 한글대응어 중 야생식물이나 어류명, 곤충명의 구체적인 예를 통해 생태사의 관점에서 접근해 보아야 할 동식물명을 살펴보았다. 민속사적 가치에서는 어업, 양잠, 매사냥, 대장, 불, 물을 끌어올리는 도구 등 당시 조선의 민속을 살펴볼 수 있는 부류의 어휘가 『物名考』에 수록되어 있음을 지적하고 민속사의 관점에서 접근해 보아야 할 한글대응어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한글대응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유희가 『物名考』를 저술하면서 우리 물명을 고증하여 한글로 표기하였고, 그 결과 동일부류에서의 한글대응어의 규모가 단연 독보적일 뿐 아니라 독자적인 한글대응어가 수록될 수 있었다. 『物名考』에서 유희의 고증이 빛난 것은 한자물명보다 한글대응어로 제시한 우리의 물명에 있었다고 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한글을 통해 조선의 지식과 문화를 전승하는 데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This paper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Korean equivalents found in Yu Hui’s Mulmyeonggo regarding their value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ecological history, and folk history. Regarding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pointed out how the different versions of Mulmyeonggo show the synchronic difference of the object names, making the book a vast and the most detailed collection of object names. In terms of ecological history, this paper analyzed the names of animals and plants that need to be examined in the context of ecological history among the Korean equivalents found in Mulmyeonggo. Regarding the importance of Mulmyeonggo in folk history, this study found that the book included various vocabulary that sheds light on the folklife in Joseon during the period, including words for the fishery, sericulture, hawking, smithing, and tools for supplying fire or water. As can be seen through the Korean equivalents, Yu Hui researched the name of Korean objects and transcribed them into Korean characters while writing Mulmyeonggo. Yu Hui’s research in Mulmyeonggo was even more remarkable because he transcribed the object names in Korean characters instead of Chinese characters. As a result, Mulmyeonggo contributed to transmitting the knowledge and culture of Joseon through Korean characters.
1. 서론
2. 국어사적 가치
3. 생태사적 가치
4. 민속사적 가치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