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부패 방지를 위한 정책과 전략의 고찰을 통해 선진국과 개도국의 효율적인 반부패 전략을 파악하는 것이다. 행정통제의 기능과 역할에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들은 부패 방지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과 영국 선진국들의 반부패 정책은 내부 통제 전략과 함께 시민사회, 입법부, 사법부, 이익단체, 여론, 언론 등을 포함하는 외부 통제의 수단들이 효과적인 기능과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외부 통제 전략은 효율적인 부패 방지 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개발도상국에 선진국의 신 공공관리론의 적용은 문화적, 정치적, 사회적 환경의 차이로 인하여 성공적이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개발도상국들은 선진국들의 경우와 달리 부패 방지 전략을 위한 효율적인 외부 통제 메커니즘이 미흡하다. 개발도상국의 효율적인 외부 통제 시스템의 기능과 역할이 부재한 상황에서 부패 방지를 위한 정책으로 외부 통제보다는 내부 통제 전략의 필요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ature of policies and strategies to prevent corruption in the advanced and developing countries which is to identify effective anti-corruption strategies in the advanced and developing states. In the function and role of administration control, the advanced and developing countries are pushing for various policies to prevent corruption. Anti-corruption policies in the advanced countries of the USA and UK are recognized as effective anti-corruption strategies with the means of external control, including civil society, legislature, judiciary, interest groups, public opinion, and media. The introduction of the theory of New Public Management in the developing countries was not successful due to the difference of cultural, political, social circumstance. In the developing countries, there is a lack of effective external control mechanisms for anti-corruption strategy, unlike the case of advanced countries. In the developing countries under poor democratic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the strategy of internal control rather than external control in administration control to prevent corruption is required in the situation of the absence of the functions and roles of efficient external control systems.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Argument and Literature
Ⅲ. Good Governance
Ⅳ. Anti-Corruption Strategies in the advanced and developing country
Ⅴ.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ategy of anti-corruption and culture
Ⅵ. Conclusion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