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799.jpg
KCI등재 학술저널

폴 드만: 텍스트에 대한 권한부여로서의 불확정성

Paul de Man: Indeterminacy as the Empowerment of the Texts

DOI : 10.19116/theory.2021.26.3.301
  • 235

본 논문의 목적은 폴 드 만의 불확정성이라는 개념이 전통적인 서구의 표현의 개념에 대한 도전일 뿐만 아니라, 텍스트에 대한 권한부여라는 측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는 기표와 기의가 서로 일치한다는 주장을 비판한다. 폴 드 만은 언어의 다양한 특징들 때문에 그들 사이에 불일치가 있다고 이야기한다. 예를 들어, 언어의 수사적이고 은유적인 특징, 물질성, 상징과 알레고리, 시간의 제약성, 의도성, 등이다. 따라서 그는 언어적 측면에서 표현의 모방적 개념을 거부한다. 이러한 거부는 불확정성이라는 개념을 도출한다. 미완성 혹은 결정 불가능성이라는 측면들은 이미 낭만주의 작품이나 신비평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드 만의 개념은 고유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불확정성의 개념은 언어의 한계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건설적인 측면도 동시에 지니고 있다. 해체주의의 두명의 선구자들인 니체와 하이데거는 표현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를 비판한다. 그러나 그러한 비판은 그동안 억압받았거나 소외 받은 부분들이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한다. 마찬가지로 드 만의 불확정성도 텍스트의 확립된 의미들을 비판한다. 그러나 그러한 비판은 다양한 의미들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텍스트에 대한 권한 부여 일 수도 있다.

This article aims to argue that Paul de Man’s idea of indeterminacy is not only a challenge to the traditional Western understanding of representation, but also the empowerment of the texts. He criticized the unity between the sign and the signified. For him, there is a discrepancy between them because of the various features of language; rhetorical and figurative, materiality, allegory over against symbol, temporality, intentionality. Thus he rejects a mimetic notion of representation in terms of language, which brings about the idea of indeterminacy. The sense of incompleteness and undecidability can be also found in the Romanticism and New Criticism, but de Man’s thought shows its own unique feature. The idea of indeterminacy can demonstrate a constructive aspect as well as a limitation of language. Both Nietzsche and Heidegger, the two main precursors of deconstruction, challeng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representation, but that challenge create a room for empowering the oppressed or neglected part to speak out. Likewise de Man’s indeterminacy disputes the established meanings of the texts but can be the empowerment of the texts by disclosing a new possibility for dynamic multiple meanings.

Introduction

Language and Indeterminacy

The Empowerment of the texts

Conclusion

Works Cited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