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812.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려시대 진언기와 사례 검토

Review on Mantra Roof-Tile in Goryeo Dynasty

  • 22

경주지역에서 출토된 고려시대 명문기와 중 ‘옴소재진복와(唵消災進福瓦)’는 경주 월성 부근인 인왕동과 경주읍성 부근인 성동동 그리고 황성동 호원사지와 동천동 일대, 현곡면 나원리사지와 안강읍 갑산사지 등에서 출토되고 있다. 과거 이 명문기와는 통일신라시대 유물로 알려졌지만 발굴조사를 통해서 고려시대 중기에 사찰에서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과거 소개된 자료와 최근 출토된 명문와 내용을 살펴본 결과 과거에 판독된 ‘소재진복’의 앞쪽과 뒤쪽에서 각각 새로운 글자가 1자씩 추가로 확인되어서. 전체 내용은 ‘옴소재진복와’로 밝혀졌다. 그리고 그 내용은 불교진언으로 ‘옴(唵)’자를 첫 머리에 둔 “재앙이 소멸되고 복이 오는 기와”로 읽을 수 있다. 이 기와가 만들어진 시기는 고려시대 중기인 12세기 후반에서 13세기 초로 추정되며, 이 시기 유행하던 불교의식인 <소재도량(消災道場)>과 관련성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명문기와는 불교진언을 기와에 새김으로써 그 부처의 힘으로 재앙을 막고자하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옴소재진복와’ 명문기와는 경주 인왕동유적 2방 6호 건물지, 성동동유적 그리고 시내 주변에 위치한 안강 갑산사-현곡면 나원리사지-황성동 호원사 둥에서 사용한 모습이 확인되므로 경주 시내와 주변지역에 위치한 사찰들의 연결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국내 유적에서 출토된 명문와 중 진언기와를 살펴본 결과 경주지역 외에도 지방의 여러 사찰에서 출토된 사례가 확인되므로 고려시대에는 소재도량을 통해서 재해를 막고자 기원하면서 함께 진언기와를 사용함으로써 그 공력을 빌었다고 생각한다.

Among the inscribed roof-tiles of the Goryeo Dynasty excavated in Gyeongju region, the ‘Om Sojae Jinbok Tile (唵消災進福瓦)’ are found in Inwang-dong near Wolseong Fortress of Gyeongju, Seongdong-dong near Gyeongju Eupseong Fortress, Howonsa Temple site in Hwangseong-dong and Dongcheon-dong, a temple site in Nawon-ri, Hyeongok-myeonm and Gapsansa Temple site in Angang-eup. In the past, this inscribed tile was known as an artifact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However, excavation surveys proved that it was used in temples during the mid Goryeo Dynasty. The examination of the materials introduced in the past and the details of the inscribed tiles excavated recently, discovered new letters, one before and the other after Sojae Jinbok (消災進福), and revealed the entire phrase, ‘Om Sojae Jinbok Wa (唵消災進福瓦)’. The phrase is from the words of Buddha and can be read as “Om, roof-tile that eradicates disaster and brings luck.” The Mantra roof-tile is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between late 12th century and early 13th century, which is the mid Goryeo Dynasty. It has some association with a Buddhist rite called ‘Sojae Doryang (消災道場),’ which was prevalent at the time and intended to prevent disasters in the temple. In summary, this inscribed tile is an expression of the intent to prevent harms with Buddha’s power by inscribing the words of Buddha on the roof-tile. Also, it is deemed that an association could be found between Gapsansa Temple, the temple in Nawon-ri, Howonsa Temple, and the temples in Inwang-dong and Seongdong-dong in downtown Gyeongju area based on the fact that this inscribed roof-tile was shared among the temples in downtown Gyeongju and its peripheral areas. The examination of inscribed tiles excavated domestic sites, the ones with the words of Buddha in particular, such roof-tiles were found in various temples inside and also outside Gyeongju. All this indicates that people prayed for the prevention of harms through ‘Sojae Doryang’ and made roof-tiles inscribed with the words of Buddha to depend on Buddha’s power.

Ⅰ. 머리말

Ⅱ. 경주지역 출토 옴소재진복와 명문기와 검토

Ⅲ. 고려시대 소재도량과 진언

Ⅳ. 고려시대 진언기와의 명문 검토

Ⅴ.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