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팬데믹의 영향으로 공연시장의 중요한 한축으로 자리 잡은 온라인 공연이지만 정작 온라인 공연을 소비하는 소비자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점에 문제의식을 갖고 온라인 공연 소비자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클래식 음악 공연 영상을 접한 소비자를대상으로 개방형설문을 실시하여 영상 시청요인을 탐색한 뒤, 폐쇄형 설문을 실시하여 공연 소비자의 소비행태 별 시청요인의 차이를 비교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개방형 설문을 통해 도출된 40개의 시청요인은 양적 연구를 통해 콘텐츠 요인, 개인적 요인, 기술성 요인, 홍보마케팅 요인, 상호작용 요인, 영상화 요인, 편의성 요인의 총 7개 요인으로 유형화 할 수 있었다. 소비행태별 시청요인 차이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플랫폼 별 시청요인 차이는 ‘홍보마케팅요인’, ‘상호작용요인’, ‘편의성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시청 횟수 별 시청요인 차이는 ‘콘텐츠요인’, ‘홍보마케팅요인’, ‘상호작용요인’, ‘영상화요인’, ‘편의성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시청기기에 따른 시청요인 차이는 ‘편의성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채팅참여 여부에 따른 시청요인의 차이는 ‘콘텐츠요인’, ‘개인적요인’, ‘기술성요인’, ‘편의성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채팅 참여’ 그룹의 평균값이 ‘채팅 비참여’ 그룹의 평균값보다 모두 높게 도출되었다. 다섯째, 지용지불 여부에 따른 시청요인 차이는 ’개인적요인‘, ’기술적요인‘, ’ 편의성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유료시청’ 그룹의 평균값이 ‘무료시청’ 그룹의 평균값보다 모두 높게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on consumers who consume online performances, and to discuss in-depth discussions on consumers of online performanc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open-ended survey was conducted for consumers who encountered a video of a classical music performance through streaming to explore the viewing factors, and a closed-type surve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verify differences in viewing factors by consumer behavio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40 viewing factors derived from the open-ended questionnaire could be categorized into 7 factors. and the results of analysis of differences in viewing factors by consumption patter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viewing factors by video platfor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keting factor , interaction factor , and convenience factor . Second, the difference in viewing factors by the number of viewing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ents factor , marketing factor , interaction factor , video factor , and convenience factor . Third, the difference in viewing factors according to the viewing devi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actors except convenience factor . Fourth, the difference in viewing factors according to chatting particip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ent factor , personal factor , technical factor , and convenience factor . Fifth, the difference in viewing factors according to pay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onal factors , technical factors , and convenience factors .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