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근무 간호사의 월경전불편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enstrual Distress and Depression in Shift Work Nurses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1권 20호
-
2021.10289 - 299 (11 pages)
-
DOI : 10.22251/jlcci.2021.21.20.289
- 403

목적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월경전불편감, 회복탄력성,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월경전불편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대학병원에 재직 중이며, 3교대 근무를 하는 간호사 132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aron과 Kenny의 3단계 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월경전불편감은 2.77±0.58점, 회복탄력성은 3.41±0.43점, 우울은 2.06±0.38점으로 나타났다. 월경전불편감은 월경주기의 규칙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월경주기가 규칙적인 경우에 월경전불편감이 유의하게 더 낮았다. 회복탄력성은 나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20대가 30대 이상에 비해 회복탄력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은 월경전불편감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우울은 월경전불편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회복탄력성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교대근무 간호사의 월경전불편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유의한 부분매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Z=1.99, p=.023).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월경전불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교육 및 중재 개발 시 회복탄력성을 비중 있게 다룰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enstrual distress and depression in shift work nurses. Methods A total of 132 shift work nur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a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using Baron and Kenny’s method for mediation with the SPSS/WIN 23.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s for premenstrual distress, resilience, and depression were 2.77±0.58, 3.41±0.43, and 2.06±0.38, respectively. Resilience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menstrual distress and depression (Z=1.99, p=.023), and its explanatory power was 43%. Conclusions To decrease depression among shift work nurses in premenstrual distress situation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resilience and develop resilience enhancement education program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