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867.jpg
KCI등재 학술저널

연행록에 나타난 조선 후기 만주족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the Manchu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ppeared in Yeonhaengrok

  • 141

이 글은 연행록 소재 만주족 관련 자료를 통해 조선 후기 지식인들의 만주족 인식을 검토한 것이다. 특히 조선의 만주족에 대한 직접적ㆍ체험적 인식에 초점을 두고자 하여 만주족의 조상인 여진족을 직접 목격한 申忠一의 사례를 먼저 살피고, 이후 본격적으로 조선 후기 만주족에 대한 인식을 연행록 자료를 통해 살폈다. 신충일은 관찰보고서인 『建州紀程圖記』에서 누르하치의 통치 아래 다양한 인종과 다양한 문화가 혼재되어 있는 것을 목격했고 旗 제도와 변발, 의관 등 여진족의 정체성도 확인하였다. 청 건국 전 이미 그 기틀이 마련되고 있었지만 조선에서는 신충일의 보고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위험성을 인지하지 못했다. 만주족의 淸帝國 이후 조선이 만주족의 실체를 인식한 것은 연행을 통해서였다. 기존 역사적 경험에 대한 인식은 연행 체험이 누적되면서 그들의 객관적 실체를 인식하기 시작했다. 만주족에 대한 인식 전환은 이전에는 시도하지 않았던 만주족과의 친교를 맺는 데까지 나아가도록 하였다. 하지만 실체를 인식하기 시작했다고 해서 항상 객관적 시각으로 만주족을 바라본 것은 아니었다. 洪大容의 화이론 해체를 제외하고는 어떤 화이론도 중화주의에서 벗어났다고 할 수 없다. 연행을 통해 실체를 인식하고 친교를 맺으며 인식의 전환과 사유의 심화는 이루어냈지만 화이론적 시각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는 한계가 있었다.

This article reviews the perception of the Manchus by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materials related to them in Yeonhaengrok. In order to focus on the direct and experiential perception of the Manchus by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a case of Shin Chung-il, who directly witnessed the Jurchens, their ancestors, was examined first, and then the perception of the Manchu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examined in earnest through the data from Yeonhaengrok. According to an observation report written by Shin Chung-il, called Geonjukijeongdogi, he witnessed a mixture of various races and cultures under Nurhachi’s control and also confirmed the identity of the Jurchens, including the banner system, pigtail, and formal attire. The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Qing Dynasty was already being laid before the proclamation of the founding of the dynasty, but the Joseon Dynasty was not aware of the danger for this despite his report. It was through a diplomatic trip to the capital city of the Qing Dynasty, called Yeonhaeng, by delegates of the Joseon Dynasty that the latter appreciated the substance of the former after its establishment by the Manchus. The perception of the existing historical experience started to contribute to the appreciation of the objective substance of the Manchus as the trip experiences accumulated. Change in perception of the Manchus led the Joseon Dynasty to make a friendship with them which had never been attempted before. However, starting to perceive the substance did not always mean looking at the Manchus in an objective manner. No Sino-barbarian(華夷) theory can be said to have deviated from sinocentrism except for Hong Dae-yong’s dismantling of the theory. The Joseon Dynasty appreciated the substance of the Manchus, made a friendship, and achieved a change in perception and intensification of thought through Yeonhaeng, but there was a limitation in that it couldn’t deviate from the perspective of Sino-barbarian theory.

1. 머리말

2. 淸帝國 이전의 누르하치 여진과 申忠一의 관찰보고

3. 조선 후기 청제국의 만주족에 대한 인식

4.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