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시대적 상황 속에서 성서교육에 대한 새 패러다임을 모색하며 유대 성서해석의 옛 전통인 미드라쉬로 시선을 돌린다. 이는 오늘의 상황 속에서 현재의 성서교육이 의미 있고 효과적인 교육이 되기 위한 준거틀을 삼고자 함이다. 유대 랍비들은 성경을 대할 때 특정한 해석지침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러한 해석지침은 미드라쉬와 함께 전수되었으며, 성경을 해석하는 태도를 형성하였다. 미드라쉬는 문집이나 강론 모음집, 랍비 문학의 특정 장르, 공개적으로 전달되는 성경 주석과 설교, 그리고 성경의 특정 책에 대한 주석 행위 등을 포함하는 상당히 넓은 의미지평을 가지고 있다. 랍비들의 미드라쉬 해석지침은 성경이 들음과 배움의 자세를 요청하고 탐구의 자세를 갖게 한다는 것, 여백을 통한 탐구를 하고자 하며 상호존중과 상호소통의 중요성을 알게 하고, 오늘 나에게 도전하는 말씀이라는 성서교수학적 의미를 발견하게 한다. 한편 미드라쉬를 성서교수학적으로 적용한 비블리오드라마는 미드라쉬의 해석지침과 많은 공유점을 갖고 있다. 비블리오드라마는 성경과 참여자의 대면을 통해 서로 인격적인 만남과 성찰을 일으킴으로써 서로를 새로운 모습으로 발견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리하여 비블리오드라마는 성경의 내용을 바르게 이해하고 인식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이해와 인식을 바탕으로 참여자의 삶에 도전하고 새로운 관점으로 참여자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함으로써 새로운 정체성 형성을 도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new paradigm for Bible didactics in the context of the contemporary times and it turns its gaze to the midrash, the old tradition of Hebrew Bible interpretation. In order for the current Bible study to be meaningful and effective in today’s situation, it is an effort to connect the Bible and us well, more than educational contents or materials. The word “midrash” itself means “textual interpretation”, or “study”, derived from the root verb darash (דָּרַשׁ‎), which means “to seek,” “to seek with care,” “to enquire,” “to require” forms of which appear frequently in the Hebrew Bible. Midrash means an exege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Hebrew Bible(Torah) as well as a group of works that are the result of specific interpretations of the rabbis. This rabbinical tradition provides specific interpretative guidelines dealing with the Bible. These interpretive guidelines were passed down and formed an attitude of interpreting the Bible that is still relevant today. The rabbinical interpretative guidelines in midrash lead to the discovery of the following biblical didactical meanings. First, the Bible requires an attitude of listening and learning. Second, an attitude of inquiry is needed. Third, an exploration through the empty space is essential. Fourth, it leads u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utual respect and communication. Fifth, through the Words that challenge me, the meaning of biblical teaching is discovered. These interpretation guidelines have much in common with Bibliodrama, which applies midrash to the didactic of Bible. Bibliodrama is a dramatic inquiry, where the effect of in-depth inquiry and consideration that midrash aimed at can be expected. In addition, bibliodrama is a process of communal interaction that leads to a new experience and a richer understanding of the Bible through different positions and viewpoints. Exploring the “white fire” of the Bible, we listen to what God says to us, which causes us to change and form an identity. The biblical didactical meaning found in midrash’s interpretation guidelines and the biblical didactical application of midrash through the bibliodrama can be presented as a new alternative to Christian education for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is will be able to present a new paradigm for biblical didactics with the word of God living and working in the present, not the Bible of the past, which is far from our present life.
I. 들어가는 말
II. 유대 성서해석의 전승 속에서 미드라쉬
III. 미드라쉬의 성서교수학적 의미와 적용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