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889.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대엽>과 <삭대엽>의 향유 양상 비교 연구

A Study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formance Aspects of Jungdaeeop and Sakdaeeop

  • 382

본고에서는 <중대엽>과 <삭대엽>의 향유 양상의 차이를 살피기 위해 17세기 이후 <중대엽>과 <삭대엽>이 함께 보이는 금보(琴譜)를 중심으로 가집과 문집 등의 여러 자료를 살펴보았다. 17세기 초ㆍ중엽의 금보에는 역괘(易&#26869;)를 통해 사조(四調)로 변조된 <중대엽>과 <삭대엽>이 보이고, <이중대엽>인 <중대엽又>를 비롯해 <중대엽>과 <삭대엽>의 파생곡 ‘우(又)’가 여러 곡 수록되어 있다. 17세기 말 이후에는 <중대엽>과 <삭대엽>이 제일(第一), 제이(第二), 제삼(第三)으로 파생되는 과정이 나타나고, 18세기 초 이후에는 <삭대엽> 제사(第四)가 정착하는 양상이 보인다. 17~18세기의 금보에는 가곡 가창의 중심이 점차 평조(平調)에서 우조(羽調)로 변하고 <중대엽>보다 <삭대엽>의 파생곡이 많아지는 양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17세기 중엽 이후 점차 활발히 활동하기 시작한 전문 가객들의 가곡 연창 활동과 그들과 교류한 거문고 악사들의 끊임없는 신곡(新曲) 창작의 영향이다. 19세기 초 이후 <중대엽>과 <삭대엽>은 각기 다른 전승 양상을 보인다. 18세기에 전문 가객과 전문 연주자 중심으로 풍류방이 형성되면서 ‘가진 기악’ 편성으로 가곡을 반주하는 연주 방식이 정착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가곡 연창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화가 일어났기 때문이다. <중대엽>은 19세기 초 이후까지만 가창의 전승이 이어지고 19세기 중엽 이후에는 가창의 전통이 단절된다. <삭대엽>은 전문 가객들이 우조(羽調)를 선호하면서 우조평조와 우조계면조의 <삭대엽>만이 남게 되고, 우조로 된 <삭대엽>의 새로운 파생곡이 19세기에도 계속 창작되면서 농ㆍ낙ㆍ편을 포함한 ‘현행가곡’ 한바탕[篇歌]이 완성된다. 전문 가객들의 ‘가자지변통(歌者之變通)’을 추구하는 음악관으로 인하여 다양한 음악적 변주를 시도하며 형성된 가곡 가창의 전통은 20세기를 거쳐 지금까지 전승되고 있다.

For this paper, I conducted a comprehensive study, examining related materials, such as ‘Geumbo [The manuscript of Geomungo]’, ‘Gajip, [The collection of Gagok]’, and Munjip [Literary Work collections], existed since the 17th century. This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aspects of performing <Jungdaeeop> and <Sakdaeeop>. Singers began to create derivative songs of new <Jungdaeeop> and <Sakdaeeop> during the beginning and the mid-17th century. Such an aspect, that singers of the middle class developed new singing culture, is also identified by the fact that collections of songs, containing new lyrics, began to be compiled during the course of the 18th century. <Jungdaeeop> and <Sakdaeeop>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transmission since the beginning of 19th century. In the 18th century, as pungnyubang was formed around professional singers and musicians, the method of accompanying songs with wind and string instruments was established, and various changes occurred in Gagok singing. In <Jungdaeeop>, the singing part started to become short after the end of the 18th century, and starting from the early 19th century, the transmission of the <Jungdaeeop> songs was disappeared.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Sakdaeeop>, more derivative songs of ‘Nong·Nak·Peon’ were added, following the 19th century. The newly created songs were developed, centered on ‘Ujo’. Coming to the 20th century, such a trend eventually formed ‘Gagok Hanbatang’.

Ⅰ. 머리말

Ⅱ. 17~18세기 금보를 통해 살펴본 <중대엽>과 <삭대엽>의 변화

Ⅲ. 19세기 초 이후 <중대엽>과 <삭대엽>의 전승 양상 차이

Ⅳ.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