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 및 육상 골재 자원의 주 대상인 모래층의 분포는 제4기 퇴적 환경 중 충적 및 하천 퇴적환경에 주로 속한다. 충청남도 금산군 일대의 골재 자원 분포는 특징적으로 감입곡류 하천이 우세한 퇴적 환경 중심으로 발달하고 있는 반면, 붕적이나 선상지성 퇴적환경에서 형성된 퇴적층은 육상 및 하천 골재 분포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다. 봉황천 주변과 소하천들이 합류하는 부근 일대는 소규모이지만 하천의 범람원이 발달하며 골재 분포 지역에 해당된다. 금산군 제4기 퇴적층의 수직 분포는 약 5~12m 범위와 평균 8m의 제4기 퇴적층 두께를 갖는다. 골재 부존 구간은 평균 3.6m 두께이며 평균 입도는 점토-실트 약 21%, 모래 67%, 그리고 자갈 12%이다. 골재 부존 구간의 주요 특징은 조립질 모래가 우세하고 자갈은 아각형 또는 아원형, 분급은 일반적으로 불량하고 괴상의 형태를 띠며 암회색~황갈색 범위의 토색을 보인다. 금산군 내에서 골재 개발 가능성이 큰 분포 지역은 금강본류, 봉황천과 소하천 지류의 현 하상과 구하상을 따라 분포하는 충적 퇴적층 및 하천 퇴적층이다.
Sand layer distribution, which is the main target of river and land aggregate resources, mainly belongs to alluvial and river sedimentary environments among the Quaternary sedimentary environments. The distribution of aggregate resources in the area of Geumsan-gun, Chungcheongnam-do is characteristically developed around a sedimentation environment in which intrusive meandering river dominate. Although the area around Bonhwangcheon Stream and the area near the confluence of small streams are small, the river floodplain develops and corresponds to the aggregate distribution area. The sedimentary layer formed in the sedimentary environment such as colluvial deposits or alluvial fan deposits has a relatively low distribution rate of aggregate resources.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Quaternary sedimentary layers in the Geumsan-gun region ranges from about 5 to 12 m and has an average Quaternary sedimentary thickness of 8 m. The aggregate-bearing section has an average thickness of 3.6 m, and the average grain size is about 21% clay-silt, 67% sand, and 12% gravel.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aggregate-bearing section are that coarse-grained sand predominates, and gravel is sub-angular or sub-rounded, and the sorting is generally poor and has a massive form of deposits, and the soil colour ranges from dark grey to yellowish-brown. In Geumsan-gun, the most likely distribution area for aggregate development is the alluvial sedimentary and river sedimentary layers distributed along the current and former riverbeds of the main Geumgang River, Bonhwangcheon and small River tributaries.
1. 서론
2. 지질개요
3. 지형 및 하천 분포
4. 연구 결과 및 토의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