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908.jpg
SCOPUS 학술저널

경기도 고양지역 육상 및 하천골재의 부존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Land and River Aggregates Distribution in Goyang City, Korea

DOI : 10.9719/EEG.2021.54.5.535
  • 9

골재는 필수적인 건설자재로 골재의 수요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각 시군에 따라 부존 특성이 다르며, 골재 자체의 사용 물량과 그 중량으로 인해 원거리에서 조달이 힘들다는 특성으로 인해 1993년부터 지역별 골재자원조사가 시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골재수급의 안정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매년 실시하는 시군단위 골재자원조사의 일환으로 2020년 경기도 고양시를 조사지역으로 선정하고 시추조사를 수행하여 골재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였다. 고양시는 동쪽으로 높은 지대를 형성하고 남서부 일대는 한강을 따라 넓은 평지가 발달하는 지형을 보이며, 국가하천인 한강과 18개의 지방하천이 발달하고 있다. 시추조사를 통해 고양시의 충적층의 심도는 남쪽으로 갈수록 깊어지는 경향을 보이며, 골재 부존량은 비교적 많은 편이지만 부존 심도가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양시의 충적층 심도의 변화 및 골재 부존량의 변화는 18개의 소규모 하천의 상류에서 하류로 이어지는 퇴적특성의 영향보다는 한강의 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특성은 서해안에 인접한 시군에 대한 골재분포와 비교적 유사한 경향을 보여준다. 따라서 서해안과 접하는 지역은 전반적으로 서해로 유입되는 비교적 큰 하천을 주변에서 골재 부존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Aggregate is an essential construction material, and the demand is increasing every year. Aggregate has different properties in each region, and it is difficult to supply it over long distances due to its quantity and weight. For the stabilization of aggregate supply and demand, regional aggregate resource surveys have been conducted since 1993 in Korea. In this study, an aggregate resource survey was conducted in Goyang Cit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ggregate distribution as part of the annual regional aggregate resource survey in 2020. Goyang City has a high mountainous area to the east, and the southwestern part shows a topography where a wide flatland develops. It has 18 small streams originated from the eastern mountainuos area and 1 large stream Han River. The drilling data shows that thickness of the Quaternary deposits tend to deepen toward the south. The aggregate reserves are relatively abundant, the depth of the aggregates are relatively deep. Changes in the depth of the Quaternary deposits and the amount of aggregate in Goyang are seems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activities of the Han River rather than the sedimentation characteristics from the upstream to the downstream of the small streams. This characteristics show a similar tendency to the distribution of aggregates in adjacent regions to the west coast in Korea. Therefore, the regions that close to west coast have a high probability of aggregate reserves around relatively large-scale streams flowing into the west coast.

1. 서론

2. 연구지역

3. 연구방법

4. 결과

5. 토의

6.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