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908.jpg
SCOPUS 학술저널

GIS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2018년 골재의 수요-공급과 유통 해석

GIS-based Network Analysis for the Understanding of Aggregate Resources Supply-demand and Distribution in 2018

DOI : 10.9719/EEG.2021.54.5.515
  • 26

골재의 생산과 공급에 대한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교통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골재 공급 운반거리분석, 골재 공급지역 분석, 골재 공급의 위치-할당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골재 수급 특성과 골재 유통현황을 해석하였다. 그 결과 골재 공급 기업을 중심으로 골재의 평균 운반거리가 평균 6 km이며, 모래의 경우 평균 7 km 자갈의 경우 평균 10 km 범위에서 수요지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비스 지역 분석 결과 수도권은 약 92%, 부산과 울산, 경남 85%, 대전, 세종과 충남이 90%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골재의 수요-공급에 대한 기초자료를 정량적으로 해석하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골재 기본계획 수립에 필요한 골재 공급지역에 대한 광역적이고 정량적인 분석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입지-배분 시나리오에 의해 평가된 결과는 전국을 현재 골재를 소규모로 공급하는 700 여개의 기업들 보다 적은 200 개 미만의 대규모 채석량을 가진 기업을 통해 서비스 공급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골재의 유통 측면에서 골재 공급 서비스의 밀도가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은 적절한 시장형성을 위한 정책적인 접근이 필요하고, 전국의 골재 수급 분석을 통해 지역적 배분 및 재평가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더 나아가 골재 시장에 대한 수요-공급 네트워크 분석은 골재 산업뿐 아니라 관련 산업에 대한 중장기 정책 수립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Based on the supply location, demand location, and transportation network, aggregate supply-demand characteristics and aggregate distribution status were analyzed from the results of the closest distance, service areas, and location-allocation scenarios using GIS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transport distance of aggregates from the supplier was 6 km on average, the average range of 7 km for sand, and 10 km for gravel was found to reach the destination. In particular, the simulated service area covers about 92% in Seoul-Gyeonggi Province, 85% in Busan-Ulsan-Gyeongnam Province, and more than 90% in Daejeon-Sejong-Chungnam Province. These results have a significant implication in quantitatively interpreting primary data on aggregate supply-demand. Furthermore,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of a wide-area quantitative analysis of aggregate supply regions necessary for establishing a basic aggregate plan. The results also evaluated by the site-allocation scenario show that aggregate supply may be possible through companies less than 200 with large-amounts quarries, which is the 700 companies currently supplying small amounts of aggregates on the country. Therefore, in terms of distribution of aggregates, a policy approach is needed to form an appropriate market for regions with high and low density of aggregate supply services, and the necessity of regional distribution and re-evaluation is suggested through an aggregate supply analysis demand across the country. Furthermore, in analyzing the supply-demand network for the aggregate market,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establish long-term policies for the aggregate industry and related industrie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토의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