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942.jpg
KCI등재 학술저널

Use of Verb Bias and Complementizer Cues in L2 Written Production

  • 23

본 논문은 제2 언어 학습자의 영어 글쓰기에 사용되는 동사 편향 정보와 보문소 that의 역할을 살펴본다. 영어를 제2 언어로 학습하는 한국어 화자를 대상으로 주어와 동사로 시작하는 문장을 완성하는 실험과제를 진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30개의 영어동사는 강한 ‘직접목적어 편향성’부터 강한 ‘보문절 편향성’까지 다양하게 포함되었다. 실험 결과, 영어 학습자들이 사용한 문장 구조와 각 문장에 사용된 동사 편향 정보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었으며, 직접목적어 편향성이 강할수록 직접목적어 구조를, 보문절 편향성이 강할수록 보문절 구조를 선택하여 문장을 완성하였다. 이 결과는 피험자인 제2 언어 학습자들이 영어 글쓰기를 할 때, 원어민 화자와 유사한 패턴으로 동사 편향 정보를 활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동사 편향 정보와 보문소 that의 상호작용에 있어서는 기존의 원어민 데이터와는 다르게, 강한 보문절 편향의 동사일수록 보문소를 사용하고, 반대로 직접목적어 편향의 동사일수록 보문소를 생략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논문은 실험 결과를 언어습득의 ‘노출기반이론’에 근거하여 제2 언어 학습자와 원어민 영어 화자의 차이점에 대하여 논의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L2 learners use verb bias information and the complementizer that in their production of English sentences. In a written production task, L1 Korean L2 English learners were presented with thirty English verbs ranging from verbs with strong direct object (DO) bias to verbs with strong sentential complement (SC) bias. The proportion of SC sentence structures produced by the L2 learner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C-bias strength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its DO-bias streng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2 learners had acquired verb bias frequencies and used verb bias information in a way similar to native English speakers. However, results also revealed a pattern in L2 learners’ use of the optional complementizer that that differed from results previously reported for native English speakers. The proportion of sentences for which the complementizer was used to introduce the embedded clau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verb’s strength of SC-bia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trength of DO-bias. The tendency for L2 learners to prefer redundant cues in written production are discussed in terms of exposure-based accounts of language acquisition.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Research Method

4. Results

5. Discussion

6. Conclusion

Works Ci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