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역특성을 고려한 비유량법을 통해 미계측 유역의 유량산정방법 개발에 대한 연구
Development of Method of Discharge Estimate at Ungauged Watershed by Drainage Area Ratio Method Considering Watershed Characteristics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Vol.17 No.4
-
2021.0443 - 55 (13 pages)
-
DOI : 10.14251/crisisonomy.2021.17.4.43
- 66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 유역의 유량을 산정하는데 있어 수치해석 모델을 이용하지 않고 유역특성에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유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유역특성을 고려한 미계측 유역의 유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기존의 비유량법에 유역 특성 가중치를 적용하였다. 유역개발정도와 유역 내 수리구조물에 대한 유역특성을 가중치로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유역은 금강수계의 미호천 유역이며 시나리오A결과 6개 관측소 중 2개소에서 과소, 2개소에서 과대산정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나리오B, C, D의 결과 시나리오A 보다 관측유량에 대한 계산유량의 비가 비교적 1.0에 가깝게 분석되었지만여전히 오차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유역특성을 고려한 미계측 유역에서의 유량을 보다 정확하게 산정하기 위해서 유역개발정도와 수리시설물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방법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판단된다.
In estimating the discharge of the ungauged watershed, we tried to estimate the discharge by applying the weight of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without using a numerical model. To calculate the discharge of the ungauged watershed considering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applied the weight of the watershed characteristics to the existing drainage area ratio method. The watershed development degree and hydraulic structures in the watershed for watershed characteristics were applied as weights. As a result of scenario A, it was analyzed that 2 out of 6 observation stations were underestimated, two were overestimated. As a result of scenarios B, C, and D, the ratio of the calculated discharge to the observed discharge was analyzed to be relatively closer to 1.0 than that of scenario A but still analyzed that the error was significant. In the future, to more accurately calculate the discharge in the ungauged watersh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shed,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Ⅰ. 서론
Ⅱ. 연구동향
Ⅲ. 연구대상유역
Ⅳ. 시나리오별 유량 산정 결과
Ⅴ.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