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949.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Ego-Identity among Adolescents

DOI : 10.14251/crisisonomy.2021.17.5.147
  • 271

본 연구에서는 학업스트레스와 자아정체감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G광역시의 중학교 3학년 재학생 360명의 연구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는 자아정체감과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학업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자아정체감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가족기능은 자아정체감과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가족기능이 긍정적일수록 자아정체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셋째,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는 학업스트레스가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가족기능이 완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가족기능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가족기능이 학업스트레스로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fun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ego-identity. For this study, research data from 360 middle school seniors in G metropolitan city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that academic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relation to ego-identity. This is interpreted as the lower academic stress, the higher ego-identity. Secondly, it exhibited that family func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relation to ego-identity. This means that the more positive family function, the higher ego-identity. Thirdly,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 was analyzed as the negativ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adolescents’ ego-identity, with family functions buff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ignificant in that they demonstrated the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and family function on adolescents’ ego-identity. Also, it suggests that family function can decrease or prevent negative effects from academic stres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