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9950.jpg
KCI등재 학술저널

원격탐사와 수재해 정보 플랫폼을 이용한 홍수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Flood/Drought Monitoring System Using Remote Sensing and Water Hazard Information Platform

DOI : 10.14251/crisisonomy.2021.17.6.77
  • 172

지난 10년간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자연재해의 88%는 호우와 태풍에 의해 발생했으며 정량적 피해를 산출하기 어려운 가뭄피해 또한 광역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 홍수, 가뭄 등의 수재해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예측하기 위한 수재해 정보 플랫폼과홍수/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수재해 정보 플랫폼은 인공위성, 레이더, 지상관측 자료를활용하여 홍수와 가뭄 등의 수해재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본 폴랫폼에는피해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고해상도 레이더 기반 홍수 모니터링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으며 위성기반의 임진강 접경지역의 홍수 모니터링 시스템과 한반도를 포함한 광역적 가뭄 감시 및 예측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다. 수재해 정보 플랫폼의 홍수/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홍수, 가뭄 등 수재해의 선제적 대응이 가능한 해결책이 되길 기대한다.

88% of the natural disasters in South Korea over the past ten years were caused by heavy rains and typhoons. In addition, drought damage, which is challenging to estimate quantitative damage, occurs in a wide area. In this study, a water hazard information platform was developed to monitor and predict water hazard information such as drought and flood in a wide area of East Asia,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The water hazard information platform is equipped with a system that can monitor water disasters such as drought and floods by using satellite, radar, automatic weather station data. This platform has an X-band radar system for predicting and monitoring urban floods with a significant damage scale. The Imjin River flood prediction system in the border area is operating for flood monitoring. The drought monitoring and forecasting system is operating using satellite-based in a wide area. Through the water hazard information platform, it is expected to protect the lives and property of the people and as a critical solution for a preemptive response to water hazards such as floods and droughts.

Ⅰ. 서론

Ⅱ. 수재해 정보 관리기술 동향

Ⅲ. 수재해 정보 플랫폼의 구성요소

Ⅳ. 홍수/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요소기술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