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효과적인 재난심리회복지원을 위한 협업모델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rdepartmental Guideline for Effective Disaster Psychological Support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 Vol.17 No.6
- : KCI등재
- 2021.06
- 17 - 36 (20 pages)
지속하여 발생하는 재난에 대비하여 국민의 심리적 지원을 위한 중앙재난심리지원단을 발족했다. 체계적인 재난심리대응 프로토콜이 없고 유관 기관 간 역할분담이 명확하지 않아 현장에서의 혼란이 가중되었던 기존의 지원체계를,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한 전문성을 가지며 부처 간 협업이 가능한 체계적인 재난심리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심리회복지원체계를 제안하여 단계별로 부처 간 주요업무 및 활동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재난경험자들의 심리적 변화과정에 근거하여 재난당일, 재난발생 3일 이내, 재난발생 5일 이내, 재난발생 60일 이내, 종료단계의5단계로 나누고 평시 및 예방단계와 종료 이후 지속지원 단계를 함께 제시하였다. 산불과 감염병사례를 적용예시로 들었다. 마지막으로 이에 근거하여 재난심리지원 업무를 (1) 협력조정 (2) 홍보(3) 상담 (4) 치료로 구분하고 부처 간 협업체계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부처 간 협업에 대한 법적인근거를 마련하는 연구 및 재난경험자의 생생한 경험과 현장에 근무하는 인력들의 목소리를 담는후속연구 등이 필요할 것이다.
The Central Disaster Psychology Support Group(CDPSG) was launched to provide psychological support(PS) in the case of disasters. Without a systematic psychological response protocol or a clearly stipulated division of responsibilities among related agencies, the existing system added confusion to the delivery of PS. The CDPSG was aimed at building a professional and systematic support system that allows inter-ministerial cooperation, with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t the center. In this study, a disaster PS system was proposed. Based on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change of disaster victims, the proposed system is divided into five phases: on the day of the disaster, within 3 days, within 5 days, within 60 days, and the end phase. Prevention phase, preceding the occurrence of disasters, and continued support phase, following the end phase, were also proposed. Cases of forest fires and infectious diseases were cited as examples. Finally, disaster PS work was classified into (1) cooperative coordination, (2) public relations, (3) counseling, and (4) treatment, and a system of cooperation among ministries was proposed. Further research should focus on laying the legal grounds for such inter-ministerial cooperation, and capture first-hand experience of disasters, as well as the voices of personnel working at the site of disasters.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재난심리회복지원체계 제안
Ⅳ. 재난심리지원체계에 근거한 적용 사례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