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자율체육활동 체험교실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학교생활 만족도로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G시 자율체육 체험교실을 운영하고 있는4개 학교의 4개의 자율체육 체험교실 5,6학년 학생 25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각 학교에서 자율체육 체험교실에 참여하는 학생 65명과 참여하지 않는 학생 6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SPSS 22.0을 사용, 집단 간 및 집단 내의 차이 및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했다. 이러한 연구 방법 및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체육활동체험교실 참여 전후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하위 요인인 교우관계, 교사관계, 학습활동, 규칙준수의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자율체육 체험교실 참여 여부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를 분석해 보면 교우관계, 교사관계, 학습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자율체육 체험교실 참여 학생의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학습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자율체육 체험교실 참여 학생의 주변 환경에 따른학교생활 만족도를 분석하면 학습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lass on self-motivated physical activity on students by analyzing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250 students in 5th and 6th grades of 4 voluntary athletic classes in 4 school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5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and 65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class. The items used in the previous research were used as the data collection tool.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K progra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05. The analytical method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 corresponding sample t-tes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data analysis, the following. First, at difference between pre - test and post – test, factors such as peer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learning activity, and rule compliance were significant at the level of .05. Second, at the analysis of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the autonomous physical education experience class, teacher relations and learning activ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t the level of .05. Third, at the analysis of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in the autonomous physical education experience class, learning activ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t the level of .05. Fourth, at the analysis of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surrounding environment in the autonomous physical education experience class, learning activ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t the level of .05.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