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091.jpg
학술저널

다중대표소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ltiple Derivative Suit

  • 101

2020. 12. 29. 공포·시행된 「상법」의 개정을 통해 다중대표소송이 신설되었다. 다중대표소송은 소수주주가 자회사를 위하여 자회사 이사의 책임을 추궁할 수 있는 법정 소송담당으로서 주주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발행한 회사를 넘어서 이해관계가 있는 다른 법인격에 주주권을 행사하는 것이다. 단일의 법인격을 전제로 하였던 「상법」 회사편의 기업지배구조 논의가 회사집단으로 확대되기 시작하였음을 의미한다. 경제계가 우려하는 소송 남용의 가능성, 입법론적 및 재판실무상 고려사항 등 다중대표소송 관련 쟁점을 선제적으로 예측하고 점검할 시점이라고 본다. 특히, 다중대표소송과 같은 소송제도는 재판실무상 해석론이나 재판방법과 관련된 쟁점에 주목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중대표소송은 주주대표소송의 원고적격이 확장된 새로운 소송제도이다. 원고적격을 제외한 회사에 대한 사전 제소청구 절차, 피고적격 및 소송물 등은 주주대표소송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두 제도의 유사성을 고려할 때, 1997년부터 실제로 제소되기 시작하여 2020년까지 누적되어 온 주주대표소송 판결에 대한 실증적 분석은 다중대표소송 관련 쟁점에 현실적이고 유의미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주주대표소송의 제기 및 판결 추이, 판결에 적시된 각하·기각·인용 이유 등의 경험적 자료를 분석하여 다중대표소송의 입법론적 개선과제 및 재판실무상 고려사항을 도출하여 보았다. 이번 「상법」의 개정은 그 동안의 입법론적 논의사항과 비교하여 내용적 측면에서 최소한의 범위로 입법화되었다. 소송 남용을 우려하는 경제계의 입장 등을 반영한 것이지만, 소송 남용에 관한 실증적 통계는 부족한 것으로 분석된다. 오히려 입법 실효성 제고를 위하여 다중대표소송이 허용되는 회사집단의 범위 확대, 주주대표소송과 다중대표소송의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원고적격 관련 특별규정의 신설 등이 요청되고 있다. 재판실무와 관련해서는 주주대표소송의 사전 제소청구 절차에 대한 법원의 엄격한 해석 경향은 다중대표소송의 높은 각하율로 연결될 것으로 예측되지만, 소송 제기 전에 회사로 하여금 이사 등에 대한 책임추궁의 기회를 향유하게 하려는 사전 제소청구 절차의 제도적 취지를 고려하여 유연하게 해석하거나 하자의 치유를 인정할 여지가 있다고 본다. 회사 관련 판결에 특징적인 경영판단의 원칙은 미국 판례법에서 유래한 사법심사 기준을 우리나라 재판실무에 수용한 것인데, 실제 재판에서는 그 적용방법에서 미국 판례법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영 사항에 대한 기업의 의사결정을 존중하여 적극적인 사법적 개입을 자제하겠다는 취지에서 비롯된 경영판단의 원칙을 재판실무에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경영판단의 원칙을 적용할 사안부터 구분하고, 기업의 의사결정에 대하여 절차적 사항을 중심으로 재판을 진행하는 방법론에 대한 판례의 형성·발전이 요청되는 상황이라고 판단된다. 그 밖에도 인용판결에 나타난 손해배상액 제한에 대한 개선 필요, 다중대표소송에 특징적인 소송요건의 내용, 회사집단을 전제로 하는 다중대표소송에서 회사집단의 이익에 대한 취급 등을 재판실무상 고려사항으로 제안하였다.

Multiple derivative suit was adopted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Commercial Act (that was promulgated and enforced on December 29, 2020). Multiple derivative suit allows a minority shareholder of a parent company to exercise their shareholder rights in a legal entity of interest beyond the company that issues shares held by the shareholder as a plaintiff with legal standing to seek liability for a subsidiary from the subsidiary s director. This means that discussions on corporate governance in company part of the Commercial Act, which premise a single legal entity, have begun to expand to corporate group. I think that it is time to proactively predict and examine issues around multiple derivative suit, including a possibility of lawsuit abuse, which the economic community has concerned about, and considerations in legislation and judicial practice. In particular, litigation system such as multiple derivative suit requires a study paying attention to arguments on interpretation or trial method in judicial practice. Multiple derivative suit is a new litigation system that extends the range plaintiff’s standing applied in shareholder’s derivative suit. Except for the plaintiff’s standing, a demand requirement against the company, defendant’s standing, and the object of a suit have a similar to a shareholder’s derivative suit. Considering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litigation systems, the empirical analysis of judgments on shareholder’s derivative suits which started to be filed in 1997 and have been accumulated to 2020 can provide practical and meaningful implications to issues regarding multiple derivative suit. In order to derive the legislaton’s improvement tasks and considerations in judicial practice on multiple derivative suit, this study analyzes empirical data such as filing and judgment trends of shareholder’s derivative suits, and grounds for rejection, dismissal, or admission stated in judgments. This amendment of the Commercial Act was a minimal revision in terms of content considering the legislative discussions about multiple derivative suit that had taken place till then. This is a result of reflecting the economic community’s concerns, etc., but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statistics to support such concerns. Rather, in order to enhance the legislative effectiveness, there are requests for expanding the scope of corporate groups applicable to multiple derivative suit and creating special provisions regarding plaintiff’s standing to reduce the blind spots that are identified between shareholder’s derivative suit and multiple derivative suit. Regarding judicial practice, it is expected that the court’s tendency to strictly interpret the demand requirement in shareholder’s derivative suits will lead to a higher rejection rate in multiple derivative suit. However, there seems to be a room for flexible interpretation or possibilities to concede cure of defects by considering the original purpose of the demand requirement, which is designed to give companies an opportunity to pursue director’s liability before filing a lawsuit. The business judgment rule specific to corporate cases, which is a judicial review standard originating from the U.S. case law, is accepted in Korean judicial practice, but it is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from U.S. case law about how it has been actually applied in court rulings in Korea. To properly apply the business judgment rule, which was introduced to respect a company’s decision making on business matters and refrain from active judicial interventions, it would be necessary to form and develop precedents which calssify cases to apply the rule to and find methodology that conducts trials based on procedural matters about a company’s decision making. …

제1장 서론

제2장 다중대표소송에 대한 입법 경과 및 과제

제3장 주주대표소송 판결 분석

제4장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제도와 다중대표소송

제5장 결론: 다중대표소송과 관련된 고려사항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