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097.jpg
KCI등재 학술저널

간재 전우의 미발론과 정좌관

Inquiry on the Meaning of wei-fa and Quiet-sitting in Gan Jae’s Theory of Self-Cultivation

  • 12

이 글에서는 조선의 마지막 성리학자로 알려진 艮齋 田愚의 미발론과 정좌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靜功이라는 단어는 靜坐功夫 또는 靜中用功의 약어로 惺寂功夫라는 단어와 함께 간재가 즐겨 사용했던 개념이다. 그는 미발 공부에 착수하기 위한 요령으로 정좌를 들고, 스스로 틈이 날 때마다 정좌에 몰입하는 한편 기회가 될 때마다 문인들에게도 정좌를 권고하는 훈유를 내리곤 했다. 과연 간재의 공부론에서 고요함(靜)에 대한 강조는 기존에 이천과 주자가 우려했던 靜寂主義로 흐를 위험에서 자유로운 것일까? 과연 간재가 수양공부의 第一義諦로 강조하는 정좌의 요령과 지향점은 무엇이며 불교의 좌선과는 어떻게 구별되는 것일까? 그리고 성리학의 未發에 대한 설명을 보충하기 위해 불교로부터 도입한 寂寂惺惺이라는 개념은 얼마나 성공적이며, 유교의 공부론이 불교에 의해 잠식되거나 손상당할 위험은 없는 것일까? 더욱 중요하게, 정좌 공부는 性師心弟 또는 性尊心卑라는 간재의 심성론적 입장과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 것일까? 본고에서는 이러한 의문에 대한 간재의 해명을 하나씩 살펴봄으로써 그의 심성론과 공부론에서 정좌가 차지하는 의미와 역할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the author tries to investigate on Gan Jae Cheon Wu’s conception of wei-fa(not-yet-arousal) and his emphasis of quiet-sitting. Gan Jae frequently used the term “practice of quietness” and “twinkle and annihilation at the same time” to instruct his disciples how to carry out the NeoConfucian notion of self-cultivation. With regard to Gan Jae’s excessive emphasis on quietness, several serious questions may arise. First of all, excessive emphasis on quietness may easily lead practitioners to fall into the trouble of quietism that Zhu Xi and other NeoConfucian scholars sternly warned. Moreover, how can this kind of quietness-oriented meditation be distinguished from that of Zen Buddhism? A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ietnessoriented meditation practice and his distinctive theory of Nature/Mind, i.e., “Nature is noble, while mind is humbl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a reasonable and comprehensible explanation to these questions.

I. 들어가는 말

II. 靜功에 대한 강조

III. 미발 공부의 핵심 요령: 寂寂惺惺

IV. 미발 공부의 궁극 경지: 見性體

V. 유교의 惺惺寂寂과 불교의 惺惺寂寂

VI. 나가면서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