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101.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태안해안국립공원 지역특화자원을 활용한 탐방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Exploration Program in Taeanhaean National Park using local resources

DOI : 10.54406/jnpr.2021.12.1.133
  • 129

본 연구를 위해 먼저 국내·외 해상·해안국립공원의 운영프로그램 현황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조사된 일부 사례의 경우 기후 및 지형적 요인, 그에 따른 생태환경의 차이, 그리고 관련 법령 차이 등의 이유로 즉시 국립공원에 도입하기 보다는 중·장기적 운영계획과 인프라의 확충, 전문성 확보 등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적합한 탐방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사업대상지 현장방문을 실시하였으며, 기존 운영프로그램 현황, 각종 시설, 인력현황 파악, 주변 환경 분석, 담당자 인터뷰 등을 통해 맞춤형 탐방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경우, 연구원 협업 철새 가락지 부착체험, 태안 해변길 - 솔모랫길 탐방, 태안해변 드론 탐방, 마음의 의자, 연날리기, 새와 예술 그리고 … 등의 체험형 프로그램과 한서대학교와 함께하는 해양 안전 교육 프로그램, 유류 오염 교육 프로그램 등의 교육형 프로그램 등 모두 8가지 해양국립공원 운영프로그램이 도출되었다. 제안된 탐방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소 및 운영시설의 확충, 예산편성, 운영을 위한 타당성 검토 등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탐방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지도자의 역량개발이 필요하며, 현재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보완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시행하기 위한 추가적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For this study, we first examined the currently operating programs of domestic and overseas maritime and costal national parks. It was found that some of the programs require systematic preparations such as mid- and long-term operation plans, infrastructure expansion, and maintenance of professionalism rather than immediately introducing them into national parks due to the differences in climatic and geographic factors, ecological environment, and relevant regulations. To develop more suitable programs, on-site visits were made and the customized programs were suggested by closely examining the status quo and interviewing people in charge of running the currently offered programs. For Taean Coastal National Park, eight programs were recommended as feasible ones, including the experiential programs such as Bird Ringing, Taean Beach Trail - Sol Sand Trail Walking, Travel Taean Beach with Drone, Thinking Chair, Kite Flying, and Culture & Arts Program (Birds, Arts, and …), and the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Marine Safety Training and Oil Pollution Awareness Program. For the suggested programs to be realized, the expansion of separate places and operating facilities for each program, budgeting, and feasibility study should be preceded. To operate the program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ompetency of program leaders, and additional discussion for supplement the currently operated programs and implement new programs.

서론

연구 방법

분석 결과

고찰 및 시사점

사사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