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제 7차 중학교 1, 2, 3학년 도덕과 교과서에 제시된 전통예절 영역 관련 삽화내용을 분석하여 그것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그에 대한 처방을 모색하여 봄으로써, 학교교육현장에서 전통예절교육을 올바르게 실시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향후 각급 학교 도덕과 교과서 개발 시에 전통예절 영역 관련 삽화내용을 구성하여 제시할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단초를 제공해 보려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2 가지 절차를 통하여 구명(究明)되었다. 첫째, 학교교육현장에서 전통예절교육을 올바르게 실시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 7차 중학교 1, 2, 3학년 도덕과 교과서에 제시된 전통예절 영역 관련 삽화내용을 분석하여 그것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그에 대한 처방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분석기준은 공통예절 영역, 관혼상제 및 수연례 영역, 전통한복착용법 영역 등이다. 본 연구에서 공통예절 영역, 관혼상제 및 수연례 영역, 전통한복착용법 영역 등을 삽화내용의 분석기준으로서 설정한 이유는, 대체로 각급 학교 도덕과 교과서에 제시된 전통예절 영역 관련 삽화내용들이, 공통예절 영역, 관혼상제 및 수연례 영역, 전통한복착용법 영역 등의 토대 위에서 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둘째, 향후 각급 학교 도덕과 교과서 개발 시에, 전통예절 영역 관련 삽화내용을 구성하여 제시할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단초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초등학교 도덕과 교과서 분석결과와 비교·분석하여 봄으로써 학교 급별 간에 전통예절 영역과 관련된 삽화내용에 있어서의 공통점과 차이점, 학교 급별 간 및 학교 내 학년들 간에 전통예절 영역과 관련된 삽화내용에 있어서의 일관성 및 계열성 등의 존재 여부를 검토하였다. 향후에 본 연구와 같은 이러한 유형의 연구 결과가 학교교육현장 및 각급 학교 도덕과 교과서 개발과정 등에 적극적으로 반영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첫째, 우리 도덕교육 공동체의 자기반성 및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각급 학교 도덕과 교과서 개발과정에 관련 분야 전문가의 적극적인 참여를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llustrations related to traditional etiquette in korean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middle school.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upright basis for traditional etiquette education, furthermore is to act as a guide in forming or selecting the illustrations related to traditional etiquette in developing korean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elementary & middle school henceforth. The procedures to accomplish this purpose are as following. First, illustrations are analysed through the basic and common etiquette in the traditional ceremony place(共通禮節), a rite of passage(冠婚喪祭 및 壽宴禮), how to put on traditional korean clothes(傳統韓服着用法). Seco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results that the illustrations in korean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are analysed. the comparison will be contributed to form or select the illustrations related to traditional etiquette in developing korean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elementary & middle school Henceforth, this results are reflected to develop the korean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elementary & middle school. for this, the self-reflection and the conversion of cognizance in the korean moral education community are required. and the chance specialists in traditional etiquette sphere can participate should be institutionalized.
Ⅰ. 서론
Ⅱ. 삽화 현황
Ⅲ. 삽화내용 분석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