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좋은 수업’의 관점과 특징에 대한 예비교사의 중요도 인식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n Perspective and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좋은 수업’의 특성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은 수업전문성 개발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교정하는 하나의 ‘내적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예비교사가 가지고 있는 수업에 대한 인식은 교수·학습 원리에 대한 과학적 이해에 기초하기보다는 교육을 받는 학생으로서 본인의 오랜 경험에 기초한 피상적인 이해에 바탕을 두는 경향이 있다. 특히, 과도한 입시경쟁으로 인한 사교육기관의 교육방법이 공교육에도 영향을 미치는 국내 교육현실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모습은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는 ‘좋은 수업’에 대한 대학생 예비교사의 인식을 조사·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대학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예비교사 141명이었으며,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특징’을 중심으로 3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은 교육 내용 측면에서는 기본적이고 구체적인 개념과 고차원적 사고개발의 중요성, 교육방법 측면에서는 학습자주도의 수업, 다양한 교수·학습 매체활용을 통해 학습자의 능동적인 지식구성의 중요성, 교육환경 및 분위기에서는 규칙을 통한 학생관리, 물리적 환경이 잘 갖추어진 수업환경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예비교사교육에 반영됨으로써 예비교사들의 인식과 전문가들의 인식이 통합되는 방향으로 발전하도록 유도하고 종합적인 관점에서 교사양성교육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conceptions on ‘good teaching’ of pre-service teachers. One hundred and forty-one (25 males and 116 females) pre-service teachers were selected from K, H, and D universities in Korea. Survey instrument was the Questionnaire for Conception on Good Teaching with thirty question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ed that important perspectives of good teaching for pre-service teachers were delivering curricular content to students and establishing good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were not thinking highly of completing instructional objectives intended. Second, for educational contents, contents of motivating students and adapting learners prior knowledge were important factors. Third, for instructional method, instructional design for curricular and activ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s were important factors. Fourth, for instructional environment and atmosphere, active interaction and fair opportunities for learning activities were important factors. Lastly, for evaluation, criterion-based evaluation closely linked to all aspects of instructional activities wa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with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