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기술교육(ESTE)에 대한 초등현직교사의 태도

Elementary School In-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ESTE) - Motivation and Obstacles for Implementing ESTE -

  • 20

초등기술교육은 기술의 세계에 대한 소개와 실천적 체험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보다 창의적인 문제해결의 경험을 제공하고자 실시되어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기술교육에 대한 초등현직교사들의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초등기술교육의 실천을 위한 교사들의 동기유발과 어려움을 조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 연구는 국내외의 초등기술교육과 동기유발이론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이론적 기초를 가진다. 초등기술교육에 관한 교사들의 동기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대-가치(Expectancy-Value) 이론과 초등기술교육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하여 조사도구를 제작하였다. 이 연구의 참가자는 중부지역에서 이루어진 초등 교사를 위한 2개의 연수에 참여한 302명의 교사들이며 이 중 설문 참여에 동의한 219명의 교사들이다. 수집된 설문지의 자료는 SPSS 17에 의해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 분석, 독립적 t 검증을 통해 자료 분석이 이루어졌다. 초등기술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동기는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초등기술교육의 인식된 가치와 초등기술교육의 실천에 대한 자기능력의 기대로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 초등학교 현직교사들의 초등기술교육의 가치에 대한 인식은 높은 편이지만 이를 실천하기 위한 능력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그들은 초등기술교육의 유용함과 중요성을 비롯한 다양한 가치들(다른 과목과의 통합적 시도, 학생들이 살아갈 미래에 필요한 것, 문제해결, 창의적 사고, 그리고 자기 주도 학습과 같은 고등사고능력, 그리고 학생들의 심동적 영역의 발달)을 인식하고 있으나 여전히 이를 실천하기에는 여러 어려움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기술교육과 관련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목표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초등기술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로 실습을 위한 물리적 공간의 확보, 실습 재정 지원, 등을 지적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현직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인식조사연구로 초등학생과 초등예비교사의 초등기술교육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ESTE) has been conducted for providing students with more creative problem solving experience by introducing technological world and implementing hands-on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in-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 ESTE and concentrated on describing their motivation and obstacles toward the implementation of ESTE. This study established a theoretical background from reviewing relevant literature related to motivation theory and ESTE.. An instrument investiga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itude toward ESTE was developed based on the expectancy-value theory and was completed with a pilot study and experts review.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19 elementary school in-service teachers who took part in the teachers training in the mid-western regions and consented to fill out the developed survey.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strument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 test by SPSS 17.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otivation toward ESTE was categorized into two constructs: perceived value of ESTE and perceived expectancy toward the ability of implementing ESTE. In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toward the ability of implementing ESTE was relatively insufficient whi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 perception toward the value of ESTE was high. Concretely, they perceive the usefulness and necessity of ESTE (integrative efforts with other school subjects, Problem solving, creative think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nd students development in psychomotor domain) but they faced several obstacles to implement ESTE. In particular, they presented a low level of satisfaction toward contemporary learning objectives and contents for ESTE and suggested we prepare for physical environment and financial support for implementing ESTE with a priority. This study recommended further studies for students and pre-servic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