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음악 전문교과 교재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the Textbooks for Specialized Music Subjects

  • 15

본 연구는 교재분석의 틀을 개발하고 이를 근거로 음악 전문교과 교재인 고등학교 음악 인정교과서 15종을 분석함으로써 음악전문교과 인정교과서 개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재분석을 위해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편집 및 표현·표기, 교재 활용 가능성의 6개 영역을 19개의 요소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의 충실성, 내용선정의 적정성과 타당성, 내용의 중립성, 단원구성의 체계성과 창의성 등의 측면에서 전체적으로 우수했던 반면, 교수·학습방법의 다양성, 목표와 평가의 일치성, 평가의 다양성, 교재의 가독성면에서는 미흡한 교재가 많았으며, 내용선정의 참신성과 편집의 체계성은 보통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여 교재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을 때, 11개의 교재가 보통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나 수업활용 교재로 적절하였으나, 4개의 교재는 수업에 사용하기 부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음악전문교과 교재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 to establish a textbook analysis system; second, to analysis 15 special music textbooks that are used in high schools; third, to evaluate utility of textbooks. In order to analysis textbooks in quality, 6 sections including curriculum,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 evaluation, editing and expression & marks, utility are subdivided into 19 factors and then analysed. As a result, in terms of those aspects substantiality of curriculum, reasonableness and propriety of contents, neutrality of contents, system and creation of unit , those aspects reach excellence generally. However, those are not : variety of teacher-learning, concurrence between target and evaluation, variety of evaluation and speedy reading. Conclusionally all things considered, 11 textbooks are appropriate to be applied in high schools on the utilization of the textbooks for specialized music subjects. On the other hand, 4 ones are inappropriate to be used in class. According to this study, some improved points are suggested for the textbooks 9 of specialized music subject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이론적 기초

Ⅳ. 음악 전문교과 교재 분석 틀 개발

Ⅴ. 음악 전문교과 교재 분석 결과

Ⅵ. 음악 전문교과 교재 개선방안

Ⅶ.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