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행복감 관계에서 스트레스에 대한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 of Active Stress-Coping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최근 청소년들 사이에서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외모에 만족하지 못할 경우 행복감이 낮아질 것임을 시사하는 연구가 많다. 본 연구는 이를 검증하고 나아가 외모만족도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에 대한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가 있다면 외모만족도가 낮은 학생들의 행복감 증진에 도움이 되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외모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의 학생간 그리고 남녀간에 차이가 있는지도 검증하였다. 서울과 춘천시 및 강원도내 읍면소재 2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총 66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과 Sobel test를 통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본 연구의 경로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었으며, 외모만족도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그 과정에서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외모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지역간 및 남녀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스트레스에 대한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는 남학생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를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mediation effect of active stress-coping behavior on happ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661 10th grade students(318 boys, 343 girls) were sampled from four high scho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high students on appearance satisfaction were happier than the lows. Second, active stress-coping behavior had mediation effect on happ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ir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and city and rural students in terms of the effe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on happiness, and mediation effect of active stress-coping behavior on happiness. Discussion and sugg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need to develop active stress-coping behavior. Second, it needs to study in succession if the effe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on happiness is different between big city and rural area students.

Ⅰ. 외모만족과 행복감

Ⅱ. 외모만족과 행복감 관계에서 매개변인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