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DACUM법을 이용하여 충북 지역의 차세대전지 관련 분야의 산업체 전문가의 요구 분석과 산업 실태를 근거로 마이스터고의 태양전지과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필요성과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 개발연구, 전문가협의회, 워크숍, 교육과정개발위원회 등의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태양전지과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Duty(8개) 및 Task(148개)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교과목 Profile을 근거하여 1학년은 총 5교과목으로 학기당 15이수 단위의 공업입문, 태양전지기초, 기초제도, 전기전자회로, 전자기계공작이며 2학년은 총 4교과목으로 학기당 12이수 단위의 자동화설비, 태양전지 공정이론, 태양전지 설비제어이다. 또한 3학년은 총 4교과목에 학기당 28이수 단위로 전자전산응용, 전력설비, 신재생에너지, 태양전지 종합실무이다. 그리고 전문교과 이수단위 편성에 대한 학교 및 현장에서 수행하는 작업 내용과 일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문가 5명으로부터 검토 의견을 수렴하였고 그 내용들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 마이스터고의 태양전지과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The objectiv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curriculum for thedepartment of solar battery in the meister high school based upon the analyses on industrialexperts’ demand and practical status of industry in the field related to the next generationbattery in the chungbuk region.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using studymethodologies such as literature search, development research, expert conference, workshop,and committee for educational course development, 8 duties and 148 tasks were created thatare required to carry out the affairs in the department of solar batter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ased on subject profiles, the sophomore gradecomprises of total of five subjects with 15 completion units per semester which areintroduction to industry, solar battery basics, basic drawing, electrical·electronic circuit, andelectronic·mechanical technology. The junior grade consists of total of four subjects with 12completion units per semester, namely, automated system, solar battery process theory, andsolar battery system control. And in the senior grade, the four subjects with 28 completionunits per semester are electronic·computer application, power system, renewable energy, andsolar battery job training. In order to confirm the consistency in organization of completionunit for specialized courses in regard to the tasks conducted in the existing schools and fields,the reviews and opinions from five experts were received. With the content of the reviewcorrected and complemented, the final education curriculum was developed for the dept. ofsoar battery in the meister high school.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