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생활화 영역과 연계한 민요 감상 교육의 설계

Planning the Appreciation Education of Korean Folk Songs in Relationship to the Familiarization Area

DOI : 10.14333/KJTE.2014.30.1.113
  • 16

본고에서는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민요 감상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감상 영역과 생활화 영역을 분석하여 민요 감상 수업을 생활화 영역과 연계하여 설계해야 할 근거와 필요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고찰해 본 결과, 감상 영역의 내용은 생활화 영역의 ‘음악을 즐기는 태도’, ‘우리 음악의 가치 인식하기’의 내용 체계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민요를 즐기는 태도 갖기’와 ‘민요의 가치 인식하기’를 연계하여 민요 감상 수업을 설계해 보았다. 첫째, ‘민요를 즐기는 태도 갖기’와 연계한 감상 수업은 노동요, 의식요, 놀이요의 쓰임 이해하기에 관한 감상 활동이 생활화 영역의 민요의 쓰임 조사·발표하기 활동과 연계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둘째, ‘민요의 가치 인식하기’와 연계한 감상 수업은 지역 전승 민요와 문화재로 지정된 민요 감상 활동이 생활화 영역의 지역 축제 참여하기, 문화재 조사하기의 활동과 연계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와 같이 민요를 감상한 후 민요와 관련된 내용을 직접 조사·발표하고, 민요를 체험해 볼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함으로써 감상 영역과 생활화 영역이 자연스럽게 연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민요를 능동적으로 감상하는 태도를 형성하고, 민요의 가치를 내면화 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본고에서 설계한 민요 감상 수업은 생활화 영역과 연계함으로써 생활 속에서 민요를 접할 수 있는 경험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앞으로 학습자들의 실천적 학습을 주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측면에서 체계적인 민요 감상 교육이 설계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necessity for and the reason why Korean folk songs should be assessed by relating these songs with the familiarization area through the means of analyzing the appreciation and familiarization area of the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by also analyzing the music education textbooks of Korean folk songs. On this basis, this study examined the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of Korean folk songs relating it to ‘the manner of enjoying Korean folk songs’ and to the ‘realization of the value of Korean folk songs . Firstly, the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in relationship to ‘the manner of enjoying Korean folk songs’ outlined the activities for understanding the usage of working, ceremony, and play songs and for how they were related to the activities of examining and communicating the usage of Korean folk songs. Secondly, the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in relationship to ‘realizing the value of Korean folk songs’ planned that the activities of appreciating local songs designated by cultural assets were related with the activities of attending local festivals and of examining local cultural assets of the familiarization areas. This study which focused on the internalization of the value and of the active manner of appreciating Korean folk songs was planned out by following the appreciation of the songs through examination, by communication, and with experience. Consequently, this study is relevant to even more experiencing of Korean folk songs through relating the education of Korean folk songs with the familiarization area of the curriculum. Furthermore, this author expects that education in these songs be planned out in various acceptable ways, thus leading learners to its practical study.

Ⅰ. 머리말

Ⅱ. 민요 감상 활동과 생활화 영역의 관련성

Ⅲ. 생활화 영역과 연계한 감상 수업의 설계

Ⅳ.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