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이야기 구조 교육을 통한 문학 반응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Pattern of Reactions to Literature after Utilizing Story Structure Education-Focusing on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4

초등학교 학습자들은 이야기를 즐겨 읽고, 이 경험은 어른이 되어서도 이어진다. 학습자의 흥미와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볼 때, 이야기 제재는 향후 문학 경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렇게 중요한 이야기 교육은 텍스트 위주의 구조적인 특성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야기는 대부분 읽기 영역에서, 학습자들의 텍스트 이해에 초점을 두고 지도되었다. 문학 영역에서 이야기는 학습자의 생각이나 느낌 위주의 감상만을 해 왔고, 의미를 구성하는 문학 감상의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한명숙(2003)의 연구는 이야기 구조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텍스트와 학습자 모두를 존중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이야기를 깊이 있게 감상하는 방법에 속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연구 방법이 문학 감상 능력을 신장시켜 주는 도구 역할을 할 수 있을지의 가능성을 검증해보고자 했다. 학습의 실제 양상은 문화 기술적 방법으로 접근하였고, 문학 반응을 분석하여 문학 감상 능력의 신장 정도를 파악하였다. 이는 학습자들의 언어, 비언어적인 반응 및 학습 결과물, 반응일지, 면담을 통해 확인하였다. 처음에는 이해적 반응을 주로 보이던 학습자들이 해석적 반응, 평가적 반응, 정의적 반응을 보여 이야기 감상 능력이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들은 이야기를 감상하는 것을 즐거워하여 자발적으로 이야기를 읽으려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이야기를 감상하는 방법을 알게 되어 책의 내용을 이해하는 정도와 감상의 폭이 넓어지고 문학적 표현력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경험은 학습자의 독서 동기를 활성화하여 향후 독서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는 학습자 내면의 변화를 확인하기에는 짧은 기간 동안 연구를 하였고,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각기 다른 모형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교육현장에서 꾸준히 이야기 교육이 실시되기를 기대한다.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stly enjoy stories and their experience of enjoying stories continues even after they grow up. Considering the students interest and development level, the subject matters of stories exert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students future literary experience. Currently, such important story education focuses 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ext. Story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mostly in relation to reading part, focusing on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ext. In literature part, the students appreciated stories based on their thoughts and feelings of the stories. So far little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the specific methodology of appreciating literature. 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ation, Han, Myeong-suk(2003) presented a method to educate story structure in her research. The method respects both text and the students and allows the students to appreciate literature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verify whether the method can play as a tool to enhance the ability to appreciate literature. The actual learning was accessed and described in a cultural and descriptive manner and reactions to the literature were analyzed to comprehend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student ability to appreciate literature. The improvement was identified through the students verbal and non-verbal reactions, learning results, diary of reactions and interviews. The students enjoyed appreciating stories and voluntarily wanted to read stories. And as they learned how to appreciate stories, they could better understand books, increase the degree of appreciation, and enhance an ability of literary expression. Such experience fostered the students motivation to read, exerting positive influences on the students future attitudes toward reading. However, the duration of this research was too short to examine changes in the students mentality. In addition, the research also failed to produce a model by the students level. Therefore, it is hoped that story education will overcome such problems and be continuously conduc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이야기 구조 교육 양상의 실제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