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장학의 본질적 기능을 수업개선지원이라 전제하고, 수업개선지원 기능과 관련하여 장학사의 직무내용과 직무수행 방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장학사의 직무내용과 직무수행 방식이 수업개선지원 기능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직무내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장학사의 직무내용은 장학영역, 인사영역, 담당학교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장학사의 직무 내용이 이처럼 수업개선에 초점이 맞춰지지 않고 학교의 전반적 교육활동과 관련된 것이어서 교사의 수업을 적극적으로 조력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장학사의 직무수행 방식은 수업참관과 협의 방식, 수업자문과 정보제공 방식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그 결과 교사와 장학사 간에 수업에 대한 사전 협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수업 내용에 대한 자문과 정보제공 활동 등이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학사의 직무수행 방식이 교사의 수업을 전문적으로 조력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education supervisors official duties and their job performance styles.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fundamental function of supervision is to support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It analyzed supervisors official duties and their job performance styles, focusing on their function of supporting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upervisors jobs were generally related to the whole range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teacher personnel administration, student guidance, and other details of schooling. Among supervisors purely supervision-related duties are instructional supervision, consultation for teachers, and providing information about instruction. Second, there were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the duties of supporting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by observing classroom teaching, giving advice on instruction to teachers, and providing teaching-related information for teachers. Third, affirmative responses and negative ones coexisted in supervisors and teachers evaluative opinions on the effect of the supervision performed by supervisors. Some teachers were seeing the supervision as helpful to their teaching improvement, while others viewing it as useless.
Ⅰ. 서론
Ⅱ. 장학의 기능 및 장학사의 직무
Ⅲ. 수업개선지원 기능에 비추어 본 장학사의 직무수행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