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교육실습의 이론적 고찰

지금까지 교육실습에 관한 몇 가지 이론들을 간단히 살펴보았다. 각 이론을 이론 나름의 장점과 단점을 지니고 있다. 여러 가지 이론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는 아직도 전동적 도제이론을 따르고 있는 것 같다. 앞에서도 지적 했듯이 이 이론은 몇 가지 문제가 있다. 현행 우리나라의 교육실습은 대학에서 교직이론을 공부하고 3, 4학년이 되어 참관실습, 수업실습을 지정된 실습학교에 가서 실습을 받도록 되어 있다. 즉 이론에 관한 지식이 곧 교실현장에서 수업행동으로 표현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행이 일치된다는 논리이다. 이 논리는 맞지 않는 것 같다. 인지적 수준에서의 교직에 대한 지식이 교직행위로 나타나려면 이것은 또 다른 능력이기에 다른 차원에서의 교육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실습학교에서는 실습지도 교사가 배정되어 실습을 받기 마련인데 이것조차도 현실적으로 어렵게 되어있다. 실습학교마다 교생의 실습을 꺼려하고 실습생에게 일정한 교과단원의 지도를 맡겨 학생들을 지도하게 하나 실제 실습학교 교사는 마음에 들어하지 않고 교생실습이 끝난 후에는 다시 똑 같은 내용을 반복하여 가르치는 경우가 허다하다. 교생실습을 지도하는 경우 실습지도 교사는 어느 특별한 이론에 따라 그 이론의 적용여부 또는 이론 적용상에 제기되는 문제에 대하여 지도, 조언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자기가 경험한 바에 따라 교생을 지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 실습지도 교사의 지도, 조언이 반드시 옳다는 근거는 어디에 있는가? 개인적 경험을 일반화 할 수 있는가? 교생의 특성을 어느 정도 고려한 지도, 조언인가? 교생과 실습지도교사의 특성은 동일한가? 동일하지 않다면 실습지도 교사가 실연해 보이는 행동을 교생에게 그대로 요구 할 수가 없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위와 같은 형태의 교육실습이 계속 존재하고 있다. 그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아마도 가장 간단하여 손쉽게 경제적이라는 점이 현행제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 같다. 외국 특히 미국의 경우 도제식의 실습, 행동주의(능력중심)지향 실습, 인보주의 실습, 반성수업실습 등이 공존하고 있다. 정확치는 않지만 미국대학의 상당수는 전통주의 교육실습을 고수하고 있고 약 40%의 대학은 능력중심 교사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80년대 들어와서는 성인의 발달, 즉 성인의 인지발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시도되었으며 이 이론을 교사교육의 이론으로 접목시키려는 학자들이 상당 수 있었다. 그 대표적인 학자로는 미네소타대학을 중심으로 Howey, Willams, Sprinthall 등이었다. 이들은 교사의 인지발달 자체를 교사교육의 목표가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고 그 근거로 교사의 인지 발달과 교사의 수업행동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를 꾸준히 진행해왔다. 그들은 교사의 인지발달로 피아제의 인지 발달이론, Kohlberg의 도덕성이론, Loevinger의 자아 발달이론, Hunt의 개념수준이론을 적용하여 인지 발달수준을 측정하고 인지 발달 수준이 높은 교사와 낮은 교사로 나누어 그들의 수업행동을 비교 연구하였는데 인지 발달 수준이 높은 교사는 한마디로 학생들의 요구에 적합한 수업을 실시하여 효과적인 수업을 전개하였고, 발달 수준이 낮은 교사는 획일적인 수업만을 고집한 나머지 학생들의 요구에 맞지 않는 수업으로 학습의 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그래서 Sprinthall은 교사의 인지 발달 자체가 교사교육, 교육실습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이들에 관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6명의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6개월간의 심리 발달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교사의 인지발달 수준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이것은 곧 수업의 효과를 보장하게 된다는 증거이다. 따라서 교육실습에서도 그 초점을 교사의 인지 발달 촉진에 맞추어야 하는 것이다. 이 방법의 문제는 장기간의 실습과정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우리의 현실로 놓고 볼 때 실제적 프로그램 운영이 어려운 상황이다. 프로리다 대학에서는 Combs를 중심으로 교사의 지각수준의 변화를 통한 수업의 효과를 높이는 연구를 꾸준히 진행해 왔으며 교사의 지각을 긍정적으로 바꿈으로 인해 교사의 행동 변화를 시도하였다. 능력중심교사교육에서는 교사의 가시적이고 구체적인 행동요소를 추론하고 이를 길러주므로 효과적인 수업을 기대하게 된다. 이러한 행동요소를 추출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예를 들면 과정-산출 연구에서 나온 행동요소를 중심으로 가시적인 지식, 기술, 태도를 추출할 수도 있고 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를 연역적으로 분석해 가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막연하게 지식만 있으면 행동으로 나타날 것이라고 전제하는 과거의 전통적 방법에 비해서는 진일보한 것이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