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와 표현’이라는 교양 강의는 대학과 사회에서 통용될 기초능력과 전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향상시킬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 것을 강의 목표로 삼고 있다. 그러나 대체로 각 대학교에서 ‘사고와표현’은 글쓰기 중심의 강의로 전개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글쓰기 현장 실습이 절대적으로 필요한글쓰기 특성상 현재의 비대면 상황에서의 온라인 강의는 다양한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K대학의 ‘사고와 표현’ PBL 강의 모듈을 검토하면서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비대면 상황에서 이론 중심 글쓰기 강의는 수강생의 흥미를 자극하지 못하며, 기존의 글쓰기교재 역시 비대면 상황에 알맞은 대대적인 보완이 필요하다. 비대면 상황에서 글쓰기 강의는 자칫이론 중심으로 향할 수 있으므로, 강의의 질을 높이기 위한 대학교 자체에서 온라인 글쓰기 강의 모듈개발이 절실하다. 둘째, PBL을 기반으로 한 토론 수업은 비대면 수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미연에방지하는 것이 우선 과제다. 화상회의 플랫폼을 활용하여 비대면 상황에서 수강생 간에 최대한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배려하되, 채팅보다는 직접적인 대화를 유도하여 친밀감이 형성될 수 있도록의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조별 학습과 차별화된 PBL이 될 수 있도록 문제 해결 과정 자체에보다 주목하고, ‘리빙랩’이라는 방식을 통해 사회 문제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실천 가능한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도록 협력학습을 이끌어가야 한다. 셋째, 비대면 글쓰기에서도 수강생과 교수자의 교감이 절대적이며, 교감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글을쓰고 고쳐가는 과정이 중요하다. 화상회의 플랫폼을 활용한 실시간 강의와 함께 학생의 글에 교수자가지속적으로 관심을 보이며 일일이 피드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The liberal arts lecture called “thinking and expression” aim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improving basic and 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to be used in universities and societies. However, it is true that “thinking and expression” is being developed as a writing-oriented lecture at each university, and online lectures in the current non-face-to-face situation expose various limitations due to the nature of writing.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by reviewing the PBL lecture module of K University. First, theory-oriented writing classes do not stimulate students interest in non-face-to-face situations, and existing writing textbooks also need to be extensively supplemented suitable for non-face-to-face situations. In non-face-to-face situations, writing lectures face contradictions that have no choice but to return to theory rather than practice, so it is imperative to develop online writing lecture modules in the university itself to improve the quality of lectures. Second, discussion classes based on PBLs are a priority to forestall various problems that can occur in non-face-to-face classe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using the video conference platform to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in non-face-to-face situations as much as possible, but to encourage direct conversation to build intimacy rather than chatting. In order to become a PBL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group learning, we pay more attention to the problem-solving process itself, and lead cooperative learning to more actively respond to social problems and find practical solutions through the ‘living lab’ method. Third, in non-face-to-face writing,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is absolute, and the process of writing and correcting together is important to form communication. Along with real-time lectures using video conferencing platforms, it is very important for professors to continue to show interest in students writings and feedback them one by one.
1. 서론
2. 비대면 글쓰기 강의의 한계
3. PBL을 기반으로 한 토론 수업 전략
4. PBL을 기반으로 한 글쓰기와 피드백 문제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