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등도 근시에서 라섹수술 받은 환자의 연령에 따른 단기 굴절 변화 비교
Short-term Comparison of Refractive Errors between Two Different Age Groups after LASEK for Moderate Myopia
- 김미정(Mi Jeong Kim) 안지선(Ji Seon An) 문자윤(Ja Yoon Moon) 김희영(Hee Young Kim)최진석(Jin Seok Choi) 박규홍(Kyu Hong Pak)정성근(Sung Kun Chung)
- 대한안과학회
- 대한안과학회지
- 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62,number11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11
- 1478 - 1482 (5 pages)
목적: 만 18세 이상 20세 미만에서 라섹(laser epithelial keratomileusis, LASEK)을 시행하는 경우와 만 20세 이상 22세 미만에서 LASEK을 시행하는 경우를 비교하여 굴절교정수술의 결과와 안정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7년 1월부터 2020년 4월까지 본원에서 LASEK을 받은 중등도 근시 환자 339명(678안)을 대상으로 18세 이상 20세 미만으로 구성된 I군과 20세 이상 22세 미만으로 구성된 II군으로 나누어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술 전과 술 후 1, 3, 6개월에 구면렌즈대응치값과 최대교정시력을 조사하였다. 결과: 술 전 평균 구면렌즈대응치는 I군에서 -4.73 ± 0.88 diopters (D), II군에서 -4.58 ± 0.87 D였었다(p=0.34). 술 후 1개월째 I군에서 0.32 ± 0.46 D, II군에서 0.26 ± 0.59 D였고(p=0.18), 술 후 3개월째 I군에서 0.30 ± 0.47 D, II군에서 0.28 ± 0.50 D였다(p=0.67). 술 후 6개월째 I군에서 0.15 ± 0.47 D, II군에서 0.14 ± 0.50 D였다(p=0.89). 라섹수술 후 1, 3, 6개월의 두 군 간의 평균 최대교정시력 차이도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p=0.20, p=0.13, p=0.11). 결론: 중등도 근시 환자에서 만 18세에 LASEK을 시행받은 경우와 만 20세 이후에 시행받은 경우에서 굴절교정수술 이후 결과와 안정성에서 차이가 없었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safety of laser epithelial keratomileusis (LASEK) by drawing a comparison between two groups divided according to age (18-19 vs. 20-21 years old).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retrospective analysis including 339 patients (678 eyes) who underwent LASEK between January 2017 and April 2020. Patients were divided by age group, group I (18-19 years old) and group II (20-21 years old). The objectives of the study included determination of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s before and at 1, 3, and 6 months after the procedure. Results: The preoperative mean spherical equivalents (SEs) were -4.73 ± 0.88 diopters (D) in group I and -4.58 ± 0.87 D in group II (p = 0.34). At 1 month postoperatively, mean SEs were 0.32 ± 0.46 D in group I and 0.26 ± 0.59 D in group II (p = 0.18). At 3 months postoperatively, the mean SEs were 0.30 ± 0.47 D in group I and 0.28 ± 0.50 D in group II (p = 0.67). At 6 months postoperatively, the mean SEs were 0.15 ± 0.47 D in group I and 0.14 ± 0.50 D in group II (p = 0.89).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operativ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at 1, 3, or 6 months (p = 0.20, p = 0.13, and p = 0.11, respectively). Conclus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operative mean SE or safety of LASEK between moderate myopia patients 18-19 years old and those 20-21 years old.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