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152.jpg
KCI등재 학술저널

임파워먼트의 양면적 효과: 권한과 책임의 개별적 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The Double-sided Effect of Empowerment: Focusing on the Interaction Effects of Authority and Accountability

DOI : 10.26856/kjom.2021.29.4.73
  • 904

오늘날 4차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글로벌 경쟁의 심화 등에 따라 기업을 둘러싼 경영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기업은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조직의 유연성과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보다 수평적인 조직구조와 분권화된 팀제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임파워먼트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임파워먼트는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구성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리기법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최근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임파워먼트가 구성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제시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임파워먼트가 구성원들에게 긍정과 부정의 양면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직무과부하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임파워먼트의 양면적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임파워먼트의 핵심요인인 권한부여와 책임부여의 개별적 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양면적 효과가 유발되는 원인을 찾고, 임파워먼트의 효과성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가설을 수립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국내 기업에 재직하는 구성원 38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연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첫째, 임파워먼트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세부적으로, 권한부여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책임부여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임파워먼트는 직무과부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세부적으로, 권한부여는 직무과부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책임부여는 직무과부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권한부여과 직무만족의 관계는 책임부여에 의해 조절되었다. 구체적으로, 책임부여가 높을수록 권한부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정(+)의 효과가 강화되었다. 넷째, 권한부여와 직무과부하의 관계에서 책임부여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임파워먼트의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과 부정적 효과를 줄이는 방안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조직행동 및 인적자원관리 분야에 유용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Many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empowerment as a management technique that has a positive effect on employees, but recently, some researchers have suggested that empowerment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employe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empowerment can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and tried to investigate the double-sided effect of empowerment by examining the effects of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and workload. Further,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cause of the double-sided effect by examining the interaction effects of delegation of authority and accountability, which are the key factors of empowerment. To achieve this research aim, we collected research data through a survey on 389 employees of companies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mpower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pecifically, delegation of author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accountabilit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empower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workload. Specifically, accounta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workload, while delegation of authorit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workload.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accountabilit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egation of authority and job satisfaction. Specifically, the positive effect of delegation of authority on job satisfaction was stronger when accountability was higher.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accountability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legation of authority and workloa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