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156.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한부모됨 이후 부정적 변화, 사회적 차별, 공·사적 지원과 미취학자녀를 둔 한부모의 양육스트레스

Associations of Hardship Changes, Social Discrimination, and Public and Social Support with Parenting Stress among Single Parents of Young Children

  • 219

본 연구는 미취학자녀를 양육하는 한부모가 인식하는 한부모됨 이후 부정적 변화, 사회적 차별, 공적 지원 및 사회적 지원과 양육스트레스의 관련성을 살펴본 것이다. 2018년 한부모가족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남녀 한부모 345명 자료를 기술통계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척도의 중간 값 이상의 높은 수준이었으며, 한부모가 된 이후에 경험한 어려움도 중간값 이상의 높은 수준이었다. 반면, 한부모가족으로서 부당한 일이나 차별을 경험한 경우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반수가 현재 기초생활보장제도나 한부모가족지원제도 등의 공적 지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다수가 일상적인 상황이나 긴급한 상황에서 동원 가능한 사회적 지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부모됨 이후 가중된 어려움과 사회적 차별은 한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높인 반면, 사적 지원은 한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적 지원은 한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associations of hardship changes, social discrimination, public assistance, and social support with parenting stress among single parents. Using data from the 2018 National Survey of Single Parent Families, we drew a sample of 345 parents who have at least one child under age 7 and used hierarchical regression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hardship changes and social discriminatio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arenting stress, and public assistance was not associated with parenting stress. The results imply that public policy should seek to reduce intended or unintended discrimination against single parenthood and increase the level of public assistance in order to effectively decrease the parenting stress of single parents.

I. 서론 및 선행연구 고찰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