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177.jpg
KCI등재 학술저널

역사 교과서 도입 주제 구성, 어떻게 할까?

As a Learning Topic, ‘What is history and what is history learning’ : How Should We Treat It Pedagogically and Appropriately for Learners?

  • 84

역사 교과서의 도입 주제는 지금까지처럼 ‘역사란 과거와 현재의 대화’라는 평면적인 정의와 역사를 배우는 이유를 나열하는 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역사 교과서의 도입 주제는 교과서 첫머리에 등장하는 짤막한 ‘학습주제’이지만, 그 의미는 하나의 학습주제 그 이상이다. 역사교육이 존재하는 사회문화적 맥락, 현재에 발 딛고 과거를 탐구하는 역사의 내재적 가치로서의 역사적 비판적 사고와 논쟁성, 학생의 자기 형성을 돕기 위한 교육적 이상 사이에 존재하는 다층적 긴장을 끊임없이 의식하며 구성되는 역사교육 개념의 실천적 표현이다. 역사교과서 도입 주제는 오늘날 학교 역사교육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기초하여 구성되어야 한다. 학교 역사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일상의 현실로 경험하는 여러 형태와 내용의 역사‘들’을 식별하고 평가할 수 있는 자기 기준을 가질 수 있어야 하고, 그 역사‘들’이 가지는 힘, 즉 역사로부터 나오는 ‘과거의 힘’이 무엇이며, 어떤 식으로 작동하거나 행사되는지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학생 자신이 어떤 역사의식을 가지고 역사‘들’을 만들고 타인과 소통하는 주체가 될 수 있다는 것도 깨달아야 한다. 또한 과거의 힘에 기대어 현재를 비판적으로 통찰하면서 지금과 다른 변화된 사회를 상상하고 만들어가는 주체가 바로 자기 자신이고 곁에 있는 동료 학생들이라는 점을, 서로에 대한 연대와 책임을 느끼며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도입 주제는 이와 같은 학교 역사교육의 역할에 기초하여 학생 스스로 역사를 배우는 과정과 배움의 결과를 성찰하고 의미화할 수 있는 지적 도구를 제공해야 한다. 이 글의 제안은 일차적으로 교사의 교육과정을 염두에 두었다. 국가 교육과정이나 교과서도 중요하지만, 시시각각 달라지는 학생들, 학생들 각자가 처한 환경과 그들이 역사과목을 배우게 되는 맥락을 총체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 주체가 교사라고 보기 때문이다.

The ‘introduction topic’ of history textbooks should deviate from the way of listing the reasons for learning history and the flat definition of ‘history is a conversation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as before. Introduction topic is a short ‘learning topic’ that appears at the beginning of the textbook, but its meaning is more than a learning topic. It is a practical expression of the concept of history education consisting of constant awareness of the socio󰠏cultural context in which history education exists, historical critical thinking and controversy as an intrinsic value of history to step into the present and explore the past, and educational ideals to help students form themselves. The introduction topic should be constructed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role of school history education today. Through school history education, students should be able to have their own standards to identify and evaluate the history of various forms and contents experienced in everyday reality. It should also be able to recognize the power of the history, that is, the power of the past from history, and how it works or is exercised. It should also be realized that students themselves can be the subject of creating and conveying history to others. In addition, it should be possible to feel solidarity and responsibility for each other and accept that it is oneself and fellow students who are next to each other who imagine and create a changed society different from the present while critically giving insight into the past. Based on this role of school history education, the ‘introduction topic’ should provide intellectual tools for students to reflect on and meaning the process of learning history and the results of learning on their own.

Ⅰ. 여는 글

Ⅱ. 도입 주제 구성 틀의 형성과 변화

Ⅲ. 도입 주제를 위한 새로운 질문 : 학생에게 역사의 쓸모는 무엇인가?

Ⅳ.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