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S모델 기반 아동간호학 온라인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Nurs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Pediatric Nursing Online Class Based on the ARCS Model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1권 22호
-
2021.1177 - 87 (11 pages)
-
DOI : 10.22251/jlcci.2021.21.22.77
- 855

목적 본 연구에서는 ARCS모델 기반 아동간호학 온라인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위하여 실시하였다. 방법 경기도 소재 대학생 102명을 대상으로 ARCS모델 기반 아동간호학 온라인 수업을 중간고사를 포함하여 7주차 운영하였고수업 전, 수업 후 학습동기와 자기주도학습을 조사한 단일군 사전사후 원시실험연구이다. 자료분석은 SPSS WO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로 종속변수의 사전- 사후 평균값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온라인 수업 사전, 사후로 자기주도학습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학습동기의 하위영역 중 자신감과 만족감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따라서 ARCS모델 기반 온라인 수업은 간호대학생의 전공이론 교과목인 아동간호학의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ried to identify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pediatric nursing online class based on the Keller’s ARCS model.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this study was designed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102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August 23 to October 23, 2020. And they recceived a pediatric nursing online class based on the ARCS model during 7weeks including midterm exam.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with the IBM SPSS 22.O Program.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self-directed learn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online class.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satisfaction among the sub-domains of learning motivation. Conclus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online class based on the ARCS model can be a learning strategy that can improve the learning effect of nursing students major theory subje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