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봉사관리자 양성을 위한 교과목 지침 개발*
Development of curriculum guidelines for nurturing volunteer managers
- 한국자원봉사학회
- 한국사회와 자원봉사연구
- 제2호
-
2021.1153 - 82 (30 pages)
- 775

본 연구는 자원봉사관리자 양성을 위한 교과목 지침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와 전문가 워크숍, 심층인터뷰 등을 통해 자원봉사관리자의 직무를 A. 자원봉사 활동 기획’, ‘B. 자원봉사 활동 연계’, ‘C. 자원봉사자 교육 및 훈련’, ‘D. 자원봉사 활동 지원’, ‘E. 지역 협력체계 구축 및 운영’, ‘F. 자원봉사 홍보’, ‘G. 행정관리’ 등 7개의 책무와 31개의 작업을 구성하였고, 각 작업 수행에 필요한 63개 단위의 역량(28개 단위 지식, 35개 단위 기술)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63개의 역량을 클러스터링하여 각 역량을 교육할 수 있도록 ‘인간과 자원봉사’, ‘시민사회와 자원봉사’, ‘자원봉사의 가치와 윤리’,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자원봉사 관리’, ‘자원봉사 행정’, ‘자원봉사 리더십’, ‘자원봉사 마케팅’, ‘사회조사 및 자료분석방법’, ‘자원봉사의 동향과 전망’ 등 10개의 교과목을 개발하고 각 교과목 별 개요와 목표, 내용 및 교수방법을 포함한 교과목 지침을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urriculum guidelines for nurturing volunteer managers. First, we composed the seven responsibilities and thirty-one tasks based on the job model of volunteer managers. Each responsibility is as follows: A. Volunteer activity planning; B. Volunteer activity linkage; C. Volunteer education and training; D. Volunteer activity support; 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regional cooperation system; F. Volunteer Public Relations; G. Administrative Management. Next, we derived 63 competencies (28 units of knowledge, 35 units of skills) required for performing each task and clustered them into the ten subjects, which are as follows: Human and Volunteer Service; Civil Society and Volunteer Service; Volunteer Value and Ethics; Volunteer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Volunteer Management; Volunteer Administration; Volunteer Leadership; Volunteer Marketing; Social Research Methods; Volunteer Trend and Prospect. Finally, we proposed curriculum guidelines for each subject, including outline, goals, main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Ⅰ. 서론
Ⅱ. 국내외 자원봉사관리자 교육체계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