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도시권 주거이동 방향과 주거환경만족도의 관계 분석
부산대도시권을 중심으로
- 김형준(Hyeong-Jun Kim) 류경수(Kyung-Soo Ryu)
- 한국주택학회
- 주택연구
- 住宅硏究 第29卷 第4號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1.11
- 35 - 55 (21 pages)
본 연구는 하나의 대도시 권역 내 소속되어 있는 부산과 울산, 경상남도를 대상으로 이주가구들이 어떠한 주거환경에 만족하는지 주거이동 방향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현 거주지와 기존 거주지의 차이에 따라 전반적인 주거환경만족도를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순서형로짓모형을 이용하여 대도시권 주거이동 방향과 주거환경만족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주거이동에 따른 주거환경만족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일지역 내로 주거이동을 하더라도 부산, 울산, 경상남도 각각의 지역마다 주거환경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그 영향력이 차이 났다. 둘째, 주거환경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동일지역뿐만 아니라 타 지역으로의 주거이동 간에서도 차이가 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주거이동 방향별로 주거환경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차이가 나며, 기존 거주지가 동일하더라도 현 거주지에 따라 주거환경만족도에 미치는 요인들은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현 거주지가 동일하더라도 기존 거주지에 따라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들 간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만족도의 기준이 경험할 것에 대한 예측과 함께 과거의 경험에 의해서도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housing environment of migrant households in the Busan metropolitan area based on the direction of residential mobility. Moreover, it examined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in determining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residence and the existing residence. Based on the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vary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residential mobility. Though the existing residence remains the same,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re different, based on the current residence. Furthermore, while the current residence is maintained,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 existing residence.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