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219.jpg
KCI등재 학술저널

메이지 후기 지리지·향토지에 나타난 독도 기술

The Description of Dokdo as found in the Books of Japanese Geography and the Books of Local Geography in the Late Meiji Period

이 글은 메이지 후기에 발행된 대표적 지리지에 독도와 관련하여 어떤 기술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1890년 전후 일본의 지리 인식의 특징을 검토하여 지리지 발간의 시대적 배경을 검토한다. 이를 바탕으로 요시다 도고(吉田東伍,1864~1918)의 『大日本地名辭書』를 중점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독도의 시마네 현 강제편입후에 발간된 향토지로서 오쿠하라 헤키운(奧原碧雲)의 두 저술인 『竹島及鬱陵島』와 『隱岐島誌』를 비교 검토하여 독도 관련 기술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메이지정부는 1870년대 초부터 근대적인 행정체제 정비 및 국토 개발, 군사적 목적 하에자국의 영토와 영해를 파악하기 위한 근대적 측량 사업을 시행하고 이를 토대로 국책사업으로 지도 제작과 지리지 편찬을 진행해 왔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일본 본토에서 멀리 떨어진 도서에 대한 영토편입에도 주의를 기울였다. 그 가운데 동해의 울릉도에 대한 개척 논의가 일어난 적도 있으며 일본인들이 마음대로울릉도에 도항하여 벌목과 어로활동을 벌이기도 했다. 이에 대해 조선정부가 이의 제기를하여 일본은 1883년, 울릉도 재주 일본인 강제송환 및 도항금지 조치를 발령했다. 지리지에는 이 금지령을 인지하고 있었음이 확인된다. 즉, 문부성에서 지리교과서 편찬을 담당한 적 있는 오쓰키 슈지의『개정일본지지략』일본의 지질조사소를 이끈 하라다 도요키치의『일본군도(日本群島)』 요시다 도고의『대일본지명사서』에는 이 조치로 인해 울릉도가 조선에 귀속한다는 것이 한일양국에 결정되었음을언급하였다. 한편 요시다 도고의 『大日本地名辭書(1900)』의「오키」부분에는 한일양국의지리지를 구사하면서 일본에서 말하는 송도는 삼봉도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자료는 메이지 후기의 대표적인 지리서로 평가받고 있을 뿐 아니라 한일양국에서 아직 언급되지 않는 자료이다. 더욱 1905년 독도의 강제편입 이전에 간행된 지리지이기 때문에 그 가치가 더욱 크다. 1905년 일본영토에 강제로 독도를 편입한 다음에 저술된 오쿠하라 헤키운의『다케시마및 울릉도』와『은기도지』를 비교해 보면 일본의 독도 편입의 정당성을 주장하기 위해 사료에 대한 자의적인 재해석이 이루어지기 시작하고 1915년에 저술이 완료된『은기도지』에는 그것이 심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aper examines what were the descriptions like and analyzed theaspects of those in major books of Japanese geography regarding Dokdo,published in the late Meiji perio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ing:First of all, investigation of Japan’s recognition of geography before and after1890 led to the understanding of historical backdrop in publishing books ofJapanese geography. Based on the understandings, this study focused onYoshida Dogo (吉田東伍,1864-1918)’s『The Great Dictionary of JapanesePlace Names』 (『大日本地名辭書』). Finally, Okuhara Hekiun (奧原碧雲)’s twowritings are compared and reviewed as the books of local culture, publishedafter Dokdo was compulsorily transferred into Shimane prefecture (縣) in orderto look into how the descriptions associated with Dokdo had been distorted.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ing: The Meiji governmentimplemented a modern measurement survey project to find out Japan’sterritory and territorial sea with the purpose of organizing administrativesystem and land development along with military purpose. Based on theimplement, cartography and compiling books of Japan geography as a nationalproject. Meanwhile, Japan paid more attention to register remote islands farfrom the main island as Japan’s own territory while conducting this project. In the course of it, there was a discussion about how to pioneer Ulleungdoin the East Sea. In addition, without permission, Japanese went over intoUlleungdo, cut lumber, and conducted fishing activity, to which Joseongovernment raised objection. As a result, in 1883, Japan announced a measurethat ordered a deportation of Japanese who had resided in Ulleungdo andbanned going over to Ullenugdo. It was confirmed that books of Japanese geography, published after the issueof the measure, had recognized this ban. In other words, the following wasdescribed in a few books saying that the fact that Ulleungdo belonged to Joseonwas determined through Korea and Japan agreement, without mentioningDokdo. Those books where the description could be found were Otsuki Shuji(大槻修二)’s 『Nihon Chishi Ryaku (Digest of Japanese Geography; 日本地誌略)』, who were once in charge of publishing geography textbooks approved byJapanese Board of Education; Harada Doyokichi’s 「Japanese Archipelago」(「日本の群島」), who was a leader of Japanese Office of Geological Survey;and Yoshida Dogo’s 『The Great History of Japanese Place Names』. Another description of Dokdo can be found in the section of 「Oki」 fromYoshida Dogo’s 『The Great Dictionary of Japanese Place Names』 (1900) (『大日本地名辭書』). It explained the Matsushima(松島), mentioned by Japanese,might be Sambongdo(=Dokdo) while referring books of geography in bothcountries where Dokdo was described. The data is materials which have neverbeen mentioned by both Korea and Japan as well as it has been evaluatedas a representative book of geography in the late Meiji. Moreover, its valueis still greater as it was a book of geography published before the compulsorytransfer of Dokdo in 1905. In addition, the description found after comparing Okuhara Hekiun (奧原碧雲)’s 『Takeshima and Ulleungdo』 and 『The Geography of Oki Islands』showed that Japan’s arbitrary re-interpretation of Dokdo had started to supportJapan’s legitimacy on Dokdo incorporation, which was confirmed andintensified again in 『The Geography of Oki Islands』 in 1915 when his writing was completed.

1. 머리말

2. 1890년 전후 일본의 地誌와 독도인식

3. 요시다 도고(吉田東伍)의 『大日本地名辭書』와 독도

4. 오쿠하라 헤키운(奧原碧雲)의 『竹島及鬱陵島』와 『隱岐島誌』 비교 검토

5.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