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314.jpg
KCI등재 학술저널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설화와 키르기스스탄의 <구리할머니와 두 소녀> 이주민설화의 ‘잡아먹는 모성상(母性象)’ 화소를 활용한 상호문화교육 연구

A study on intercultural education using the motif of the ‘maternal image with eating up’ from the Korean folktale of “Sister and Broth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and the Kyrgyzstani immigrants’ folktale of “Grandmother with Copper Fingernails and Two Girls”

DOI : 10.20516/classic. 2021.55.195
  • 235

본 논의는 서로 다른 문화를 받아들이는 과정의 고통과 불안을 줄이고 자문화와 타문화를 모두 긍정하며 서로의 차이를 소통해가는 태도를 형성하기 위해, 각 나라의 문화를 반영하고 있는 구비설화 속 화소의 유사한 의미를 활용하여 친밀함을 형성하고, 이후에 이질적 화소의 차이를 매개로 이주민들이 정체성으로 겪는 불안과 혼란을 넘어설 수 있는 준거를 확장해가는, 5단계의 상호문화교육의 과정을 제시했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한국민담인 〈해와 달이 된 오누이〉와 키르기스스탄 출신의 이주민이 구술한 〈구리할머니와 두 소녀〉를 비교연구 대상으로 했다. 두 설화의 ‘엄마 옷을 입은 호랑이’와 ‘구리할머니’는 전세계설화에서 나타나는 ‘잡아먹는 모성상(母性象)’의 화소로, 희생하는 엄마를 잡아먹고 아이들까지 잡아먹으려고 한다. 아이들은 이들과 대면하여 공포를 경험하지만, 이를 계기로 공간을 이동하게 되면서 성장의 상징적 도약을 이뤄내게 된다. 이때 두 소녀는 오누이와 다르게 세 번의 모성을 다시 경험하는 차이가 있는데, 이를 희생하는 엄마와 잡아먹는 모성의 대립을 넘어설 수 있는 관계 확장의 사회적 모성으로 해석하였고, 다문화가정에서 겪는 자녀교육에 대한 불안을 사회적 모성의 준거로 해결해 가야 함을 제시했다.

This study aimed to reduce the discomfort in accepting different cultures, affirm both one’s own culture and other cultures, and form an attitude that communicates differences. To achieve this, the study attempted to create familiarity by identifying similar motifs in oral folktales that reflect the cultures of different countries. It presented a five-step process for intercultural education that includes overcoming experienced by immigrants through the use of and differences between heterogeneous motifs. The study focused on the Korean folktale “Sister and Broth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and the Kyrgyztani immigrants’ folktale “Grandmother with Copper Fingernails and Two Girls”. In the two folktales, the ‘tiger who wears mother’s clothes’ and the ‘grandmother with copper fingernails’ are characters who trigger the ‘maternal image with eating up’, modif. Further, after comsuming the sacrificing mother, they attempt to devour the mother’s children. When the children face the predator, they experience fear; but as they move through space with this as an opportunity, they achieve a symbolic leap forward for growth. The two girls in the Kyrgyzstani folktale, unlike the brother and sister in the Korean folktatle exhibit the difference in experiencing three times maternalism again. This difference can be interpreted in terms of social maternity of relationship expansion that can overcome the confrontation between a sacrificing mother and a maternity with eating up.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 anxiety regarding children’s educ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resolved by referring to the criterion of social maternity.

1. 서론

2. 설화의 공통된 화소와 이질성을 매개로 한 상호문화교육의 설계

3. ‘잡아먹는 모성상(母性象)’ 화소의 비교를 통한 의미 생성

4. 차이를 활용한 ‘희생하는 모성’에서 ‘사회적 모성’으로의 의미 확장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