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314.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글본 『동패낙송』 이본의 종합적 연구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Korean Versions of the Dongpae Naksong

  • 25

본고는 한글본 『동패낙송』에 대한 선행 연구가 대개 개별 이본에 대한 검토로 수행되거나 여러 한글본 야담 자료들로부터 공통적인 특질을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바, 3종의 한글본이 어떤 동이점을 보이는지, 서로 어떤 관계에 놓이는지, 세 이본 층위가 어떠한지를 온전히 밝히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본고는 한글본 『동패낙송』 세 이본의 선초 양상, 이야기의 제목, 문면을 아울러 비교함으로써 각 이본의 특징 및 이본 간의 관계와 층위를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3종의 이본에 대한 면밀한 고찰을 통해 본고에서 규명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글본 『동패낙송』의 세 이본들은 같은 계열의 모본에서 파생되었다. 이 한글본 모본은 현재 일실되었지만, 한문본 『동패낙송』 중 하나인 연대본과 같은 계열에 속하는 한문본을 번역한 이본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그 중에서도 국민대본과 서강대본은 완전히 동일한 모본을 공유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단국대본은 축약적 특징이 가장 두드러지는 이본이다. 넷째, 국민대본은 축자역에 대한 지향이 가장 강한 이본으로 현전하는 한글본 『동패낙송』 가운데 한글본 모본에 가장 가까운 이본일 것으로 추정된다. 다섯째, 서강대본은 3종의 한글본 『동패낙송』 가운데 변이의 폭이 가장 크고 의도적인 변이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이본이다.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assess the different points, relationships, and layers among the three Korean versions of Dongpae Nakso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copies of the three Korean versions of Dongpae Naksong were each derived from the original version of the same series. Second, the Korean versions of Dongpae Naksong collected by Kookmin university and Seogang university appear to have been derived from the same original text. Third, the korean version of Dongpae Naksong collected by Dankook university is the most abbreviated one. Fourth, the Korean version of Dongpae Naksong collected by Kookmin university is the closest to the literal translation. Fifth, the Korean version of Dongpae Naksong collected by Seogang university displays the largest and most deliberate variation.

1. 머리말

2. 이본 간의 관계

3. 이본 별 특징과 그 층위

4.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