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316.jpg
KCI등재 학술저널

플로싱 밴드가 태권도 시범단의 발목 가동성, 점프력 및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lossing band on ankle ROM, sargent jump and balance in Taekwondo Demonstration Athletes

  • 23

이 연구는 20대의 남자 대학 태권도 시범단을 대상으로 플로싱 밴드를 적용하여 발목가동성, 점프력 및 평형성에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플로싱 밴드 집단(n=11)과 통제집단(n=11)으로 무작위 배정 후 1회성 플로싱밴드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모든 결과는 반복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 내 전, 후의차이 분석을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적용하였다. 또한 사전변인의 동질성을 고려하여 공변량분석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목의 안쪽번짐, 가쪽번짐, 발등굽힘에서 좌·우 모두 집단과 시기 간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좌측 발바닥쪽 굽힘에서 집단과 시기 간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p<.05), 집단 간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측의 가쪽번짐과 발등굽힘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둘째, 동적 및 정적 평형성은집단과 시기 간 상호작용이 없었다. 셋째, 서전트 점프력은 집단과 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태권도 시범단선수들에게 플로싱밴드의 1회적 훈련효과는 미비하며, 후속 연구 시에는 많은 연구 대상자, 성별, 연령, 운동경험, 플로싱밴드의 적용부위 및 처치기간, 빈도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lossing band on Ankle ROM, Jumping power and Balance in elite Taekwondo demonstration athletes in their 20s.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flossing band group(n=11) and control group(n=11) and then one-bout flossing band training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flossing band, repeated two-way ANOVA was performed on all results, and the paired sample t-test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within the group. In addition, analysis of covariance wa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homogeneity of the pre-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below: First, the ankle inversion, eversion and dorsiflexion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time in both sides.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of the plantar flexion on the left side(p<.05), an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nd eversion and dorsiflexion of the right sid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5). Second, dynamic and static balance did not show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time. Third, the sargent jump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time. In conclusion, the one-bout training effect of flossing bands is insignificant, and more study subjects, gender, age, exercise experience, application site, treatment period, and frequency of flossing bands are considered for the follow-up studies.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