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반자 운동의 연구동향과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메타버스와 가상현실을 중심으로
Research trend of the exercise companion and future direction-Focusing on Metaverse & Virtual Reality
- 노은주(No, Eun Ju) 이명철(Lee, Myung-Chul) 한경훈(Han, Kyugn Hun)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 제12권 제3호
- 등재여부 : KCI등재후보
- 2021.11
- 51 - 65 (15 pages)
동반자 운동은 개인이 신체 활동에 참여하고 지속하기 위한 동기 및 운동의 의미를 부여한다. 동반자 운동은 운동의동기와 관련된 많은 연구에서 효과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효과는 다양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연구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비교이론, 콜러효과, 사회학습이론의 관점에서 동반자 운동의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동반자 운동에 대한 동반자 선정, 장소, 시간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4차 산업의발달로 인해 해결이 가능해졌으며 아바타, 로봇 등의 기술로 가상 동반자를 실제 동반자라고 인식하며 동반자 운동이가능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동반자 운동 연구를 통해서 동반자 운동의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 문제점에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동반자 운동이 가지고 있는 제한점을 시간적, 물리적 제약을 받지않는 가상 동반자로 해결이 가능한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동반자 운동에 대한 연구가국내외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연구가 어느 수준에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둘째, 동반자 운동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제시하고, 이 이론이 동반자 운동에 어떻게 적용이 이루어졌는지 살펴볼 것이다. 셋째, 현재 가상 동반자를 활용한운동이 어떠한 수준에서 이루어졌는지 살펴보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Companion exercise gives individuals motivation and meaning of exercise to participate and sustain physical activity. Companion movements have been effectively reported in many studies related to motivation for exercise. These effects were studied based on various theoretical grounds, and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companion movement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mparison theory, koller effect, and social learning theory. However, various problems such as companion selection, place, and time occurred for the companion movement. This problem has become possible to solve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fourth industry, and the companion movement has become possible by recognizing virtual partners as real partners with technologies such as avatars and robots. Therefore, in this study,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anion movement is examined and a solution to the problem is suggested. In this study, we will examine whether the limitations of the companion movement can be solved with virtual partners without temporal or physical restrictions. In this study, first, we will examine the level of research on the companion movement by considering previous studies at home and abroad and actual application cases. Second, we will present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companion movement and examine how this theory was applied to the companion movement. Third, I would like to examine the level at which the movement using virtual partners was currently carried out and consider the direction to move forward.
서론
본론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