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316.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학생 근지구력 검사의 검사자간 신뢰도 분석

Reliability of Muscular Endurance Tes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17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건강체력평가 근지구력(윗몸말아올리기) 검사에서 측정자의 전문성에 따른 측정값 차이를분석하고, 검사자간 신뢰도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체육전담교사 1명, 담임교사 6명, 학생 144명이측정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측정자의 전문성에 따른 체력기록의 등급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교사는 준거측정자에 비해 초등학생들의 근지구력(윗몸말아올리기)을 과대측정하고 있다. 둘째, 여학생 기록과 5학년 기록에서 검사자간 신뢰도는 매우 낮다. 셋째, 담임교사와 준거측정자의 근지구력 측정기록에따라 학생들의 체력등급은 달라진다. 담임교사의 기록은 4-5등급의 저체력 비율은 적은 반면, 2-3등급의 비율로많이 분류된다. 평가자에 따라 학생들의 근지구력은 다른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체력등급 또한 달라진다. 따라서정확한 체력결과를 위해 정확한 체력 측정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며, 본 연구 결과는 학생건강체력평가 측정지침개선 및 현장에서의 정확한 측정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ifference and reliability of measured values between examiners in the muscular endurance(curl-ups) tes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health fitness test. For this purpose, one physical education teacher, six homeroom teachers, and 144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measurement. The collected data were correlated with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using the SPSS 26. statistical program. In addition, chi-square was us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grades of physical fitness records according to the measurer s experti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omeroom teacher overestimates the muscular endur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ared to the reference measurer. Second, Inter-rater reliability is very low in the female student records and the fifth grade records. Third, students physical fitness grades vary according to the records of measuring muscular endurance of the homeroom teacher and the reference measurer. Depending on the evaluator, students muscular endurance shows different results, and their physical fitness level also varies. Therefore, accurate physical fitness measurement should be priority for accurate physical fitness results.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