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몽어유해≫의 한글 전사 부분에서 부가기호 ‘△’이 쓰인 150 개를 대상으로 ≪몽어노걸대≫, ≪첩해몽어≫, ≪어제만주몽고한자삼합절음청문감≫ 등 관련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부가기호 ‘△’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우선, 소리 측면에서 당시 몽골어의 실제 발음(구어체)을 표시해 주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예를 들면, 음절 ‘ye’가 [i], 음절말 자음 ‘s’가[ʃɨ], 음절 ‘do’가 [d], 복음절(複音節) ‘siya/siye, čiya/čiye, ǰiya/ ǰiye’가 [ʃa/ʃə, tʃa/tʃə, dʒa/dʒə] 발음을 각각 표시하였다. 또한 형태 측면에서 ‘△’은 몽골어의 동음이체자를 구별해 주는 기능, 차용어 표시 기능 등을 한다. 동음이체자를 구별해 주는 기능은 [d], 어말 [s], 어말 [b] 표시 등에서 관찰된다. 차용어 표시 기능은 [ə], [w]와 [z] 등에서 나타난다.
In this study, the function of the additional symbol △ was analyzed through comparing 144 additional symbols △ in the Korean transcription of Mong-e-yu-hae with related materials such as Mong-e-no-geol-dae, Chup-hae-mong-e and E-jae Man-zu Mong-go Han za sam hap jeor em. First, in terms of phonology, the symbol represented the actual pronunciation (colloquial) of Mongolian language. For example, the syllable ye stood for [i] and the final consonant s indicated [ʃɨ], the syllable do indicated [d], and the double syllable siya/siye, čiya/čiye, ǰiya/ǰiye indicated the pronunciation of [ʃa/ʃə, tʃa/tʃə, dʒa/dʒə]. In terms of morphology, △ functioned to distinguish Mongolian homophonic variant words and to indicate borrowed words. The function of distinguishing homophonic variant words was observed on consonant d and final consonant s and b . The function of distinguishing borrowed word was observed on vowel e , and consonants w and z .몽어유해;부가기호 ‘△’;실제 발음;동음이체자;차용어;Mong-e-yu-hae;Additional symbols △ ;Actual pronunciation;Homophonic variant words;Borrowed words
1. 서론
2. 연구 자료와 방법
3. 부가부호 ‘△’의 기능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