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364.jpg
KCI등재 학술저널

몽골어 파열음의 음향적 특성이 몽골인 한국어 수준별 학습자의 한국어 파열음에 대한 음성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acoustic properties of Mongolian plosives on the speech perception of Korean plosives by Mongolian learners of Korean in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 20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가 후두 자질의 측면에서 삼원적 대립을 보이는 한국어 파열음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30명의 몽골인 학습자가 음성인식실험에 참가하였는데 실험 참가자들은 다시 한국어 능숙도에 따라서 15명의 수준이 낮은 그룹과 15명의 수준이 높은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몽골인 참가자들이 그들의 한국어 능숙도와 상관없이 한국어 파열음 중에서 평음과 격음을 잘 구분하지 못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사실은 한국어를 배우는 몽골인 학습자가 한국어 파열음을 정확히 인식하는데 필요한 VOT값과 F0값의 차이를 음향적 단서로 적절히 활용하지 못 한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ongolian learners of Korean perceive Korean plosives which has a three-way contrast in terms of laryngeal features. 30 Mongolian learners participated in speech perception tasks,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proficiency of Korean: 15 participants for a low level and 15 for a high level. In the tasks, the Mongolian participants showed a poor performance in discriminating plain stops from aspirated ones, regardless of their Korean proficiency level. This implies that Mongolian learners of Korean are not able to utilize the differences in VOT and F0 values as acoustic cues to correctly distinguish the Korean plosive series. Given that Mongolian learners can successfully discriminate Mongolian plosives only with the VOT cue, their sensitivity to F0 has been diminished. Thus, this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ir perception of Korean plosives, which leads us to conclude that sources of Mongolian learners’ errors in discriminating Korean plosives involve failure to employ F0 as a perceptual cue to their perception of non-native sound contrast.

1. 서론

2. 한국어와 몽골어의 파열음에 대한 비교 분석

3. 제2언어 습득에 있어서 파열음의 음향적 단서

4. 몽골인 학습자의 한국어 파열음에 대한 인식 실험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