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사박물관 소장 후기 조선시대 (주로 19 세기) 목가구 82 점에 사용된 수종을 목재해부학적으로 식별한 결과, 총 22 종의 수종이 나왔다. 침엽수는 소나무류, 잣나무류, 전나무속, 은행나무, 가문비나무속, 비자나무, 편백나무속, 외래산소나무로 8 종이 분석되었으며, 활엽수는 느티나무, 피나무속, 오동나무속, 오리나무속, 참죽나무, 가래나무속, 감나무속, 배나무속, 자작나무속, 밤나무속, 사시나무속, 느릅나무속, 음나무 등 13 종이, 그리고 외떡잎식물로 대나무 1 종이 확인되었다. 수종의 점유율로 보면 소나무류(43%), 느티나무(9%), 오동나무속(7%), 피나무속(7%) 순이었다. 한 수종만 쓰인 가구가 37 점(45%)으로 가장 많았으며 최대 6 수종까지 한 가구를 제작하는데 사용되었다. 지역별 반닫이에 사용된 수종의 특징을 조사한 결과, 북부지방에서 제작된 반닫이는 피나무속과 소나무류가, 중남부지역에서 제작된 반닫이는 모두 공통적으로 소나무류와 느티나무가 사용되었다. 부재 용도에 따라 골재와 판재에는 소나무류, 느티나무, 참죽나무 등 대체로 단단하고 강도가 강한 목재가, 그리고 화장재로는 아름다운 무늬를 가지거나 독특한 재색을 가지거나, 가공하기 용이한 산공재 등 다양한 수종이 사용되었다. 서랍재의 재료는 가볍고, 변형이 적어야 하므로 비중이 낮고, 변형률이 적은 오동나무속 또는 피나무속이 사용되었다. 황해도 반닫이와 박천 반닫이에는 추운 지역에서 자라는 피나무속이 사용되어 산지가 북한임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ecies of 82 furniture in the late Choseon Dynasty (mainly, 19th century), which are housed in the Seoul Museum of History. Total of 22 species were found. The species shared 43% as hard pine(Diploxylon), 9% as Zelkova serrata Makino, 7% as Paulownia spp., 7% as Tilia spp., 6% as soft pine(Haploxylon), 5% as Ginkgo biloba Linn., 4% as Cedrela sinensis A. Juss., 3% as Diospyros spp., 3% as Abies spp., 2% as Alnus spp., 2% as Picea spp., 1% as bamboo, 1% as Populus spp., 1% as Betula spp., 1% as Juglans spp. The other minor ones were Torreya nucifera Sieb. et Zucc., Pyrus spp., Castanea spp., Ulmus spp. and Kalopanax oictuse (Thunb.) Nakai. Thirty seven furniture (45% in total) was made of single species, 19 (23%) of two species, 16 (20%) of three species and 10(12%) of 4 to 6 species. For frames and panels, hard and strong woods, such as hard pines, Zelkova and Cedrela, were used. For drawer, however, light woods having low shrinkage, such as Paulownia and Tilia, were used. The origin of woods could be specified by the habitats of the species identified. Both Hwanghaedo- and Parkcheon- Chests used basswood (Tilia), which grow in the cold regions, indicating the origin of woods as North Korea.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s and methods
Ⅲ. RESULTS AND DISCUSSION
Ⅳ. CONCLUSIONS
ACKNOWLEDGEMENTS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