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건설프로젝트는 대형화, 복잡화되고 있으며 다수의 개별 사업들이 종합적으로 연계된 복합사업으로 발주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여서 프로젝트 수행의 위험도는 증가하고 있고 프로젝트 관리역량 부족으로 손실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프로젝트 관리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하는 건설엔지니어링 산업에서 프로젝트 관리가 단기적 프로젝트 성과와 장기적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단기적 프로젝트 성과가 기업의 장기적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계약관리와 리스크관리가 단기적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계약관리 및 멀티프로젝트관리가 장기적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기적 프로젝트 성과는 장기적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건설엔지니어링 기업의 장기적인 프로젝트 성과 및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프로젝트 관리의 필요성을 증명하고, 이를 통해 프로젝트 관리의 표준화와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PM 시장 진출에 일조하고자 한다.
In recent years, construction projects are increasing in complexity and size, and the number of projects that are comprehensively linked complex projects is increasing; therefore, the risk regarding project implementation is increasing—consequently, the loss caused by the lack of project management capabilities of engineers is also increasing. In this situation, there is a growing perception that systematic and professional project management is necessary to ensure strong project performance, that is, project management is essential for ensuring that project completion criteria are fulfilled.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project management on short- term project performance and long-term project performance in the project-based construction engineering industry, and the effect of short-term project performance on long-term project performance of companies. Consequently, first, this study revealed that contract and risk management affect short-term project performance.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contract and multi-project management influence long-term project performance. Finally, this study revealed that short-term project performance influences long-term project performance. Thus, this study proved that systematic project management is necessary for ensuring strong performance of long-term projects and goal achievement of construction engineering companies; thus, project management enhances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se companies, facilitating their entry in the high value-added PM market.
Ⅰ. 서론
Ⅱ. 이론적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