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관 온라인 전시가 관람객의 미적 경험과 오프라인 전시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전시의속성을 접근성, 상호작용성, 정보성, 유희성 등으로, 미적 경험은 감정적, 소통적, 인지적, 지각적 영역 등 4개의 요인으로 각각 구성하여 오프라인 미술관의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첫째 온라인 전시는 미적 경험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적 경험 중 감정적 영역에는 정보성이, 소통적 영역과 지각적 영역에는 유희성이, 인지적 영역에는 접근성이 각각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온라인 전시는 오프라인 전시 관람의도에 유희성, 상호작용성, 정보성 순으로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적 경험은 인지적, 감정적, 소통적, 지각적 순으로 오프라인 전시 관람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미적 경험은 온라인 전시와 오프라인 전시 관람의도를 부분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온라인 전시 이용자들을 오프라인 전시로 유도하는 실무적 시사점과 함께 학술적 논의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visitors and the effect of online exhibitions at museums on the degree of viewing an offline exhibition. For this reason, the attributes of online exhibitions are composed of accessibility, interaction, informativeness, playfulness, etc., and the aesthetic experience is composed of four factors: emotional, communicative, cognitive, and perceptual areas. A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n viewing intentio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the online exhibition service had a parti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esthetic experience. It was analyzed that informativity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emotional domain of aesthetic experience, playfulness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communication and perceptual domains, and access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cognitive domain. Second, it was found that online exhibitions had a parti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ffline exhibition viewing intention in the order of playfulness, interactivity, and informativity. Third, it was found that aesthetic experienc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ffline exhibition viewing intention in the order of cognitive, emotional, communication, and percep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 partially mediated the intention to view online and offline exhibition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spark academic discussion along with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ducing online exhibition users to offline exhibitions.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설계 및 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